지난 7월 전국적으로 폭우로 인한 수해가 잇따라 발생한 가운데 대구시가 5년 만에 '침수흔적도'를 시민들에게 공개했다. 어렵사리 공개됐지만, 최소 7년 전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성된 데다 지역별 표본 수도 너무 적어 '무용론'이 인다.
대구시에 따르면 침수흔적도는 지난 19일 대구시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됐다. 이 지도가 온라인에 공개된 것은 만들어진 지 무려 5년 만이다. 침수흔적도는 침수 시기·범위 등을 지형도 및 지적도에 기재한 것을 일컫는다.
대구시는 지난 2018년 수해에 대비하겠다며 2억원의 예산을 들여 침수흔적도와 침수예상도를 포함한 '재해정보지도'를 제작했다. 그러나 일부 주민들이 집값을 비롯해 재산상 피해를 우려하는 민원을 제기해 온라인 공개가 차일피일 늦어져 비판 여론이 일었다. 여전히 비공개 상태인 침수예상도는 내년에 용역을 거쳐 온라인에 공시할 예정이다.
그러나 빈 수레가 요란했던 것일까. 막상 뚜껑을 연 침수흔적도는 부실투성이에 사실과 다른 부분도 많았다. 취재진이 침수흔적도를 살펴본 결과 침수 경력이 있는 구역에 색깔이 칠해져 있었지만, 언제 어떤 이유로 침수됐고 언제 물이 빠졌는지에 대한 정보는 한 건도 없었다.
아울러 많은 비가 오면 쉽게 물에 잠기는 지역임에도 침수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곳도 많았다. 침수취약도로인 서구의 비산지하차도, 상습 침수 구역으로 꼽히는 북구 신성교 인근 등이 대표적이었다.

이처럼 '무용지물' 침수흔적도가 만들어진 건 지도를 구성하는 데이터가 너무 빈약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대구시에 따르면 침수흔적도는 대구시와 각 구·군이 수집한 침수 데이터를 시각화한 것이다. 그러나 이 침수 데이터가 수집된 곳은 남구·달서구·동구·북구‧수성구 5개구의 30개동뿐이다. 데이터가 수집된 기간도 2002년부터 2016년까지다. 9개 구‧군 133동 체제의 대구의 침수 흔적을 나타내기에는 표본 수도 너무 적고, 자료 자체도 최소 7년 전에 작성된 '구식'인 셈이다.
이와 관련 대구시 관계자는 "당시 지도를 제작할 때는 동네 주민들을 직접 만나 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던 것이라 아무래도 30개동에 한정됐던 것 같다"며 "이후부터는 각 구‧군에서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로 돼 있는데, 격월로 공문을 보내 자료를 요청해도 회신이 없다"고 해명했다.
전문가들은 최근의 극단적 기상현상과 도시 구조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 침수흔적도는 의미가 없다며 대구시의 적극적인 자세를 촉구했다.
김중진 대구안전생활실천시민연합 공동대표는 "근래 기록적인 폭우는 수해 대해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줬다. 침수흔적도는 시민들의 안전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수년 전 데이터로 만든 것이라면 없느니만 못 한 것"이라며 "대구시는 침수에 대한 상세한 자료를 실시간으로 반영해 시민들이 위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