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논란에도 '제로 식품' 열풍, 아직 식지 않았다

롯데멤버스 유통 빅데이터 분석,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액 증가
음료,술,과자,조리식품 등 상반기 제로칼로리∙무설탕구매전년 동기比1.5~43배↑
탄산음료 카테고리 약 44% ‘제로’ 차지…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분류에도 수요 꾸준

9일 롯데멤버스가 롯데 통합 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 조사 결과, 음료 1.5배, 주류1.7배, 과자 2.8배, 커피/차 2.9배, 냉동식품 5.4배, 조리식품 43배, 냉장식품 1.8배 가량 늘었다. 롯데멤버스 제공
9일 롯데멤버스가 롯데 통합 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 조사 결과, 음료 1.5배, 주류1.7배, 과자 2.8배, 커피/차 2.9배, 냉동식품 5.4배, 조리식품 43배, 냉장식품 1.8배 가량 늘었다. 롯데멤버스 제공

최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군)로 지정하는 등 논란에도 여전히 '제로 식품' 열기는 식지않고 있다.

아스파탐 발암가능물질 분류로 제로칼로리시장 성장에 제동이 걸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롯데멤버스가 롯데 통합 거래 데이터를 바탕으로 제로칼로리및 무설탕 제품 구매추이를 분석해본 결과 지난해보다 올해 오히려 관련 상품 구매가 더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9일 롯데멤버스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는 음료 1.5배, 주류1.7배, 과자 2.8배, 커피/차 2.9배, 냉동식품 5.4배, 조리식품 43배, 냉장식품 1.8배 가량 늘었다.

빙과류, 간식류 등 냉동식품이나 면류 등 조리식품 카테고리의 경우 구매액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지난해부터 카테고리 상품 수(SKU)가 눈에 띄게 증가하면서(각 2.7배, 2배)구매 증가세가 더욱 가파르게 나타났다.

제로칼로리∙무설탕 제품 구매액 규모가 큰 분야는 음료 카테고리였다. 카테고리 내에서의 구매 비중도 다른 카테고리보다 높다. 올 상반기 기준 전체 음료 카테고리에서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의 구매 비중은 약 13%, 탄산음료 카테고리에서는 약 44%에 달했다.

롯데멤버스 분석 결과, 아스파탐이 발암가능물질로 분류되기 전인 7월 2주차(3~9일) 대비 7월 4주차(17~23일) 제로탄산음료 구매가 오히려 9%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탄산음료뿐 아니라 전체 음료 카테고리에서도7월 2주차 대비 7월 4주차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 구매에는 변동이 거의 없었다.

다만 고객군별 수요회복세 차이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남성 고객들의 경우 7월 4주차 제로 탄산음료 구매가 6월 2주차 대비 24%, 7월 2주차 대비 32%가량 늘어난 반면, 여성 고객들의 경우 같은 기간 각 22%, 10%가량 줄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7월 4주차 제로탄산음료 구매가 30대에서는 6월 2주차 대비 약 24%, 7월 2주차 대비 약 32% 증가했다. 20대에서도 7월 2주차 대비 소폭 증가(3%)했다.

이와 달리 해당 기간 50대에서는 구매가 각 21%, 6%정도 줄었다.

정훈 롯데멤버스 데이터사이언스부문장은 "아스파탐 논란 이후 음료뿐 아니라, 주류, 과자, 커피 등에서 무설탕 및 제로칼로리 제품의 수요 하락이 일시적으로 나타났으나, 미국식품의약국(FDA)과 음료협회(ABA)에서 반박문을 발표하는 등 기관별 견해 차이가 있고, 국내 식품업계에서도 아스파탐 없는 제품을 출시하는 등 빠르게 대처하면서 수요가 회복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구매고객 상세 분석 결과 제로칼로리 및 무설탕 제품을 구매한 고객들의 경우 전체 구매고객 대비 '건강' 카테고리 제품 구매가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꿀' 구매액이 1.5배, '일반의약품' 구매액이 1.9배 가량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