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현 고1이 치는 2026학년도 수능, '2025년 11월 13일' 실시

문·이과 통합형 수능…공통+선택과목 체제 유지
성적 통지일 12월 5일…한국사·영어·제2외국어/한문 절대평가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백일 앞둔 지난 8월 7일 팔공산 갓바위를 찾은 학부모와 시민들이 자녀의 수능 고득점과 가족 건강, 행복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백일 앞둔 지난 8월 7일 팔공산 갓바위를 찾은 학부모와 시민들이 자녀의 수능 고득점과 가족 건강, 행복을 위해 간절히 기도하고 있다. 김영진 기자 kyjmaeil@imaeil.com

올해 고등학교 1학년이 치르는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은 2025년 11월 13일 문·이과 통합형으로 실시된다.

교육부는 16일 2026학년도 수능 시행일과 영역별 문항 유형 등 수능 주요 내용을 발표했다.

2026학년도 수능은 2022학년도에 도입된 현재의 문·이과 통합형 수능 체제를 유지한다. 영역별 문항 수와 시험시간, 성적표 기재 사항 등은 전년도 수능과 같다.

우선 국어·수학영역은 공통과목(출제비율 75%)과 선택과목(25%)을 함께 실시하는 현 수능 체제로 유지된다.

국어영역은 '독서', '문학'이 공통과목이며 '화법과 작문', '언어와 매체' 중 한 과목을 선택해 응시하게 된다.

수학영역은 '수학Ⅰ', '수학Ⅱ'가 공통과목이며 '확률과 통계', '미적분', '기하' 중 한 과목을 선택해야 한다. 수학영역 문항의 30%는 단답형으로 출제된다.

사회·과학탐구영역은 문·이과 구분 없이 17개 과목 중 최대 2개 과목을 골라 응시하면 된다.

직업탐구영역의 경우 1개 과목만 응시하는 수험생은 선택과목 5개 중 1개를 고르면 되고, 2개 과목에 응시하는 수험생은 선택과목 5개 중 1개와 공통과목인 '성공적인 직업생활'을 치르면 된다.

한국사 영역 응시는 필수다.

한국사·영어·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절대평가이기 때문에, 성적표에 등급만 기재된다.

나머지 영역이나 과목은 상대평가로, 표준점수·백분위·등급이 모두 성적표에 기재된다.

부정 행위자의 시험 결과는 무효 처리되고, 다음 연도인 2027학년도 수능에도 응시할 수 없다.

다만, 종료령이 울린 후 계속해서 답안을 작성하는 행위 등 교육부 장관이 정한 경미한 부정 행위자의 경우 당해 시험만 무효 처리된다.

2026학년도 수능 성적 통지일은 12월 5일이다.

출제 원칙 등 수능 시행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담은 '2026학년도 수능 시행 기본계획'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2025년 3월에 공고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