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외국인 유학생 유치 성패는 대학·기업·지자체 협력에 달렸다

정부가 지역 대학 및 지방 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 유치'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교육부는 2027년까지 외국인 유학생 30만 명을 유치, 세계 10대 유학 강국이 되겠다는 목표를 내놨다. 대학과 기업, 지방자치단체가 유학생 유치부터 학업과 진로 설계에 이르기까지 단계별 전략을 함께 마련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광역지자체 단위로 '해외인재특화형 교육국제화특구'를 지정, 지역 발전 전략과 연계한 해외 인재 유치 전략을 마련한다.

해외 유학생 유치는 지역 대학과 지방의 생존을 위한 대안이 되는 것은 물론 우수 인재 유입으로 반도체, 배터리 등 첨단산업 분야의 경쟁력 확보에도 도움이 된다. 지난해 국내 외국인 유학생 수는 16만 명으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그러나 국내 외국인 유학생 비율은 3.7%로 OECD(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 평균(6.6%)의 절반이다. 한국의 경제력이나 글로벌 위상에 못 미치는 수준이다.

유학생 유치는 글로벌 경쟁이다. 영국은 2030년까지 유학생 60만 명을 유치하기 위해 연간 350억 파운드(59조7천억 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일본은 2033년까지 38만 명, 프랑스는 2027년까지 50만 명의 해외 유학생 유치에 나섰다. 이런 나라들과 경쟁에서 이기려면 파격적인 정책과 전략, 인센티브가 필요하다. 외국인 유학생들이 우리나라에서 공부하고 생활하는 데 불편함이 없어야 한다. 유학 온 우수 인재들이 졸업 후 취업은 물론 국내에 정주할 수 있는 여건도 조성해야 한다.

지난 5월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인도를 방문, 경북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할 기술의 중심이란 점을 강조하며 현지 대학생들에게 '경북 유학'을 권유했다. 이 지사의 이런 노력은 신선했다. 그동안 유학생 유치는 개별 대학의 생존 차원에서 이뤄졌다. 이제는 대학·지자체·기업의 상생 과제이다. 특히 지자체의 컨트롤타워 역할이 중요하다. 산업 수요를 고려한 유학생 유치는 물론 학업, 생활, 취업, 정주에 이르는 정책 패키지를 강구해야 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