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장학재단과 핀테크 전문기업인 두나무는 지난 18일부터 '2023년 두나무 연계 신용회복지원사업'의 지원금 지급을 시작했다고 28일 밝혔다.
2023년 신용회복지원사업은 6월 30일 신청‧접수를 마감했으며, 총 3천706명의 대상자가 신청을 완료했다. 지원금은 심사 결과에 따라 순차적으로 지급해 9월 말까지 지급을 완료할 예정이다.
이번 사업은 2021년 한국장학재단과 두나무가 체결한 '한국장학재단-두나무 미래인재 육성을 위한 업무 협약'의 일환으로 두나무는 총 70억원을 기부해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중 성실상환자 지원, 취약계층 대학생의 디지털교육 인프라 조성 지원 등을 이어오고 있다.
두나무는 '2022년 푸른등대 두나무 디지털교육 지원사업'을 통해 취약계층 대학생에게 최신형 태블릿PC 1천250대를 지급해 코로나19 이후 확대된 디지털 교육 인프라 조성에 기여했다.
또한, '2022년 두나무 연계 신용회복지원사업'으로 분할상환약정을 성실하게 이행하고 있는 학자금대출 장기연체자 3천352명에게 총 3천449백만원을 지원해, 청년들이 경제적으로 재기해 사회에 안정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도록 뒷받침했다.
특히 1천592명의 신청자가 두나무의 도움으로 학자금대출 채무를 완제했으며, 지급 기간 중 296명이 자발적인 추가 상환을 통해 조기 완제해 총 1천888명이 전액 상환을 완료했다.
아울러 상환 여력이 부족한 저소득자 및 사회적 배려계층을 집중지원해 미취업자 및 월 1백만원 미만의 소득자가 전체 대상자의 50.5%(1천692명)를 차지했으며,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배려계층 154명에게 1인당 평균 147만 원을 지원해 일반 채무자 대비(일반채무자 1인당 평균 101만 원 지원) 상환 부담을 크게 경감했다.
배병일 한국장학재단 이사장은 "올해 2년 차를 맞는 두나무 연계 신용회복지원사업의 폭넓은 지원을 위해 추가로 기부해주신 기부처 두나무에 감사드린다"며 "앞으로도 학자금대출 채무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청년들의 경제적 재기와 안정적인 사회에 진출을 지원할 수 있도록 기부처 두나무와 함께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이사는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최선을 다하는 청년들에게 힘이 되고자 추가로 기부를 진행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세상에 이로운 기술과 힘이 되는 금융으로 미래세대에 기여한다'는 두나무의 경영 이념 아래 청년들에게 힘이 되는 활동들을 펼쳐나가겠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