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 아세안·G20 잇따라 참석…한·중 회담 불투명

5일, 5박 7일 일정으로 인도네시아·인도 방문…14개 양자회담
"6개 국가 추가 회담 조율 중 中 국가주석 참석 여부 미정"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 캠핀스키호텔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해 11월 인도네시아 발리 캠핀스키호텔에서 열린 주요 20개국(G20)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회의장으로 향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이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관련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5일 출국한다.

윤 대통령은 5일 오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에 도착, 아세안 정상회의 관련 일정을 소화한 뒤 8일 오후 G20일 열리는 인도 뉴델리로 이동한다.

윤 대통령은 6일부터 8일까지 인도네시아에서 한-아세안 정상회의, '아세안+3(한중일)' 정상회의, 한-아세안 AI청년페스타 , 아세안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주최 갈라 만찬, '동아시아정상회의'(EAS), 한국-인도네시아 비즈니스 라운드 테이블, 한-인도네시아 양자 정상회담 등의 행사에 참석한다.

윤 대통령은 이번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 참석 계기로 말레이시아, 필리핀, 싱가포르, 캄보디아, 쿡제도 등과의 양자회담을 갖고, 다른 아세안 회원국 및 파트너들과의 양자 정상회담도 조율하고 있다.

이어 9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G20 정상회의 모든 프로그램에 참석하고, 정상회담도 이어간다.

이번 G20 정상회의는 3개 세션으로 이뤄지는데, 각각 '하나의 지구', '하나의 가족', '하나의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도전과제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연대와 협력을 논의하게 된다.

윤 대통령은 G20 정상회의 계기로 의장국인 인도를 포함해 스페인, 아르헨티나, 모리셔스 등 주요국 정상들과 개별 양자회담을 가지고, 인도 현지 진출 기업인들과의 간담회도 진행할 예정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아세안 계기에 캐나다, 라오스와, G20 정상회의 계기에 방글라데시, 코모로와 각각 양자 회담이 추가 확정됐다"며 "이번 순방 계기에 열릴 양자회담 일정은 현재까지 14개고, 6개 국가와 추가로 회담 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밝혔다.

기대를 모았던 시진핑 중국 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을 열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G20 정상회의에 중국 국가주석이 온다는 이야기가 없고 대안으로 다른 사람이나 총리가 올지에 대해서도 중국 측이 인도에 아직 공식적으로 대답을 안 해주고 있다"며 "지금 상황으로는 인도에서 한중간에 어떤 회담을 계획할 수 있는 상황은 아닌 것 같다"고 말했다.

아세안 관련 정상회의에서 한중 정상회담이 열릴 가능성에 대해선 "중국은 관례대로 총리가 올 것"이라며 "중국과 제대로 된 공식 정상회담이라고 부르기가 애매한데 어쨌든 어떤 식으로든 (윤석열 대통령과) 대화가 이뤄지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김태효 차장은 "이번 순방의 목표·기대 성과는 첫째, '한-아세안 연대구상'의 본격 추진, 둘째, 글로벌 책임 외교 구현, 셋째, 부산 엑스포 총력전 전개 등 세가지"라며 "G7, BRICS 주요국, MIKTA(멕시코·인도네시아·튀르키예·오스트레일리아)가 모두 참여하는 협의체인 G20 국가들과의 협력을 한층 더 심화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순방을 통해 경제 분야에서는 수출시장 확대, 첨단산업 공급망 다변화, 디지털 리더십 강화 등 세 가지를 꾀한다.

최상목 경제수석은 "두 나라 모두 올해 수교 50주년을 맞이하는 해인 만큼 양자 정상회담과 경제행사 등을 통해 경제협력 관계를 더욱 심화시킬 계획"이라고 밝혔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