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가 방류된 후에도 당초 우려했던 국내 수산물 소비 위축 현상은 두드러지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밝혔다.
박성훈 해양수산부 차관은 4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오염수 관련 일일브리핑에서 "방류 직후인 지난달 24∼29일 6일간 대형마트 3사의 수산물 매출액은 방류 직전인 8월 17∼23일 7일간 매출액의 103% 수준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이어 "8월 24∼25일 대형마트 3사의 수산물 매출은 작년 동기 대비 68.1% 늘었고, 방류 전인 8월 22∼23일보다는 46.7% 늘었다"고 덧붙였다.
방류가 이뤄진 직후부터 지난달 27일까지 수산 외식업 전체 1천 곳의 매출은 방류 전인 8월 20∼23일 대비 3.8% 감소했으나 횟집 30곳은 오히려 13.2% 증가했다. 방류 직후 첫 주말(8월 25∼27일) 노량진 소매점과 식당, 수협 유통 직영 매장 매출도 일주일 전보다 늘었다.
수산물 판매량을 유추해볼 수 있는 부산물 배출량 조사에서도 수도권 대표 도매시장인 노량진시장, 가락시장, 구리시장 배출량은 방류 전에 비해 11.9% 증가했다.
박 차관은 "방류 전보다 오히려 부산물 배출량이 늘어난 것으로 볼 때는 소비량이 간접적으로 늘어났다고 추정할 수 있을 것 같다"며 "다만 장기적인 추이를 봐야 되기 때문에 당초 우려했던 가시적인 소비 위축은 나타나고 있지 않다는 정도로만 이해해달라"고 말했다.
일본 정부가 중국의 일본산 수산물 전면 수입 금지 조치에 대한 철폐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요구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진 것과 관련해선 "(일본이) 저희 정부에 통보한 것은 없다. 계속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후쿠시마 인근 해역 수산물 수입금지과 관련해선 변동이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오염수 방류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지난달 27일 출국해 국제원자력기구(IAEA) 현장 사무소에 방문한 한국 전문가들과 관련해선 "정부가 전문가들에게 계속 체류하면서 상황을 체크해 보라고 추가 미션을 준 상태"라고 설명했다.
박구연 국무조정실 국무1차장은 "당초 한 일주일 정도면 충분히 (방류 과정을) 볼 수 있지 않겠느냐는 예상이 있었는데, '첫 번째 배치'라고 표현하는 방류가 총 17일 정도 걸리고, 이번주 후반까지 이뤄져야 한 세션이 끝난다. 그래서 정부에서는 이왕 간 김에 (방류) 전 과정에 계속 이상이 없는지 보는 게 더 낫겠다 싶었다"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