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서이초 교사 추모 분위기 속 대구 곳곳 대규모 집회…"선생님 잊지 않겠습니다"

전국 교사들, 서이초 교사 49재 맞아 4일 '공교육 멈춤의 날'로 지정
전교조 대구지부, 대구교총 등도 추모 행사 진행

4일 극단적 선택을 한 서울 서이초 교사의 49재를 맞아 오후 4시 30분부터 수성구 대구시교육청 앞 분수공원에서
4일 극단적 선택을 한 서울 서이초 교사의 49재를 맞아 오후 4시 30분부터 수성구 대구시교육청 앞 분수공원에서 '고 서이초 교사 49재 대구 추모집회'가 열리고 있다. 박성현 기자

서울 서이초 교사의 49재를 맞아 전국적으로 추모 분위기가 번지고 있다. 추모 행사 참여로 결원이 많아진 일부 학교에서는 외부 강사를 초빙하거나 교장, 교감이 직접 수업을 맡는 등 혼선을 빚었다.

4일 대구 초등학교 곳곳에는 숨진 서이초 교사를 추모하고, 교권 회복을 바라는 현수막이 걸렸다. '공교육 정상화를 바라는 교사 일동', 'OO 초등학교 교원 일동' 등으로 적힌 현수막에는 교권을 존중하고 학습권을 보장해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교육계에 따르면 교사들은 이날을 '공교육 멈춤의 날'로 정하고 전국 곳곳에서 애도 행사를 펼쳤다. 일부 교사들은 추모를 위해 연가나 병가 등을 활용해 학교에 출근하지 않기도 했다. 이에 따라 대체 인력이 부족한 학교에서는 교장과 교감 등이 직접 수업에 나서거나 외부 강사를 초빙하는 일이 벌어지기도 했다.

대구의 한 초등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30대 교사는 "학교별로 차이는 있겠지만 약 10%의 교사들이 연가나 병가 등을 사용한 것으로 알고 있다"며 "이날 출근한 교사들도 학생들과 동료 선생님들을 위해 어쩔 수 없이 나온 사람이다. 추후 교육부의 교권 개선 노력에 따라 다음 파업 때는 출근을 하지 않는 교사들이 더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퇴근 시간 이후에는 도심 곳곳에서 추모 집회가 열렸다. 이날 오후 4시 30분 수성구 대구시교육청 앞 분수공원에서는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 대구지부와 새로운학교대구네트워크, 좋은교사운동 등의 단체가 '고 서이초 교사 49재 대구 추모집회'를 열었다.

집회 현장에는 시작 전부터 검은색 옷과 마스크 등을 착용한 교사들의 추모 행렬이 이어졌다. 주최 측이 마련한 400개 좌석은 일찍 동이 났고, 300명의 사람들이 선 채로 집회에 참여했다. 이들은 공원에 임시로 마련된 분향소에 헌화한 뒤 방명록에 고인의 죽음을 위로하는 글귀를 적기도 했다.

집회 참가자들은 "교육권을 보장하라","아동학대법 개정하라"는 문구가 각각 새겨진 피켓을 들고 국회와 교육부, 교육청 등에 ▷공교육 멈춤의 날에 동참한 교사 징계 중지 ▷교권 회복 관련 법안 개정 ▷민원관리시스템 구축 및 교권 침해 교사 보호 조치 ▷수업 방해 학생 제지 및 분리 대책 등을 요구했다.

잇따라 숨진 교사들의 영상을 보며 눈물을 훔치던 한 40대 교사는 "저학년을 맡고 있어 부득이하게 연가는 못 썼지만 오늘 이 자리는 꼭 참석해 고인들을 추모하고 우리의 울분을 드러내고 싶었다"며 "함께하는 모든 교사가 서이초 교사의 일이 우리 모두에게 언제든 일어날 수 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집회 현장에는 학생과 학부모들의 모습도 보였다. 교사들을 응원하는 메시지가 적힌 피켓을 들고 서 있던 학부모 박석준(44) 씨는 "초등학생 자녀 2명을 가진 아버지로서 공교육의 정상화가 정말 시급하다고 생각해 직접 나서게 됐다"며 "선생님들의 교권이 충분히 보장돼야 우리 아이들의 교육도 제대로 되겠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오후 6시부터는 중구 2·28기념중앙공원 광장에서 대구광역시교원단체총연합회(대구교총)가 진행하는 추모행사가 별도로 진행됐다. 이날 현장에는 강은희 대구시교육감 등 교사와 학생, 시민 등 약 300명이 참석해 '선생님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푯말을 들었다.

4일 오후 2시쯤 대구의 한 초등학교 정문 앞에 내걸려 있는 추모 현수막의 모습. 박성현 기자
4일 오후 2시쯤 대구의 한 초등학교 정문 앞에 내걸려 있는 추모 현수막의 모습. 박성현 기자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