몇 년째 표류 중인 대구 달서구 월배차량기지 이전사업이 또다시 암초를 만났다. 관련 용역 결과, 경제성이나 재무성 등 대부분의 지표에서 사업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대구시와 대구도시개발공사는 지난해 지방공기업평가원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에 각각 '월배차량기지 후적지 개발사업 투자타당성 검토용역'과 '월배차량기지 이전사업 타당성조사 용역'을 의뢰했다. 지난달 중순쯤 두 용역의 결과가 모두 나왔지만, 대구시는 보고서는 물론 대략적인 내용에 대해서도 비공개 방침을 고수하고 있다.
매일신문 취재진이 용역 결과 보고서를 입수해 살펴본 결과, 이전사업에 대한 경제성 분석에서 편익/비용비율(B/C)은 0.3으로 나왔다. 경제성 분석은 공공사업의 비용과 편익을 사회적 입장에서 측정하고, 경제적 수익률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통상 B/C가 1을 넘어야 경제성이 있다고 판단된다. 아울러 정책적 분석 결과에서도 "정책 부합성은 높지 않은 수준"이라며 "내구연한이 잔존한 시설을 조기에 폐쇄하는 것이 적정한지 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월배차량기지 후적지 개발사업에 대한 타당성 역시 "전반적으로 미흡"하다는 결론이 났다.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사업의 경제성에서 B/C는 0.61로 기준치인 1에 못 미쳤다. 재무성 지표인 수익성지수(PI)나 정책성에서도 타당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론은 2021년 대구시가 자체적으로 시행한 '월배차량기지 이전 및 후적지 개발 사업 타당성 조사' 용역과는 영 딴판이라 논란이 일 전망이다. 당시 용역은 월배차량기지 이전사업이 경제성은 낮지만 재무적 타당성은 확보했다는 결론을 냈고, 대구시는 이를 바탕으로 안심차량기지로 통합 이전을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발표했다.
이런 사실이 알려지자 지역 정치권은 이전 기대감으로 들떴을 달서구민들을 크게 실망시킬 결과라며, 대구시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태손 대구시의원(달서구4)은 "월배차량기지를 중심으로 형성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 주민들은 매번 소음과 진동으로 피해를 받고 있다. 전임 시장 공약사항이기도 한 차량기지 이전은 이곳 주민들에게는 숙원이나 마찬가지"라며 "이를 외면한다면 주민들 입장에선 희망고문만 하다 끝내는 셈이나 다름없다"고 꼬집었다.
대구시는 아직 사업의 방향이 결정된 것은 아니며, 추진 방안을 모색한다는 방침이다. 김대영 대구시 교통국장은 "이번 용역에 후적지 개발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이 반영된 것은 아니다. 어떤 방식으로 개발하느냐에 따라 사업의 경제성 등은 바뀔 수 있는 부분"이라며 "용역 결과와 함께 관계 전문가 자문, 관련 사례 분석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겠다"라고 밝혔다.
월배차량기지는 전철 등 전동차를 주박하거나 정비하는 시설로 지난 1997년 달서구 유천동 일대에 14만9천200여㎡ 규모로 조성됐다. 그러나 2000년대 월배지역 택지개발과 함께 인근 주민들이 전동차 소음 등에 대해 지속적인 민원을 제기하면서 이전 논의가 본격화됐다. 2021년에는 대구시가 안심차량기지로 통합 이전을 추진했지만, 동구 주민들의 반대에 부딪혀 무산됐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