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10명 중 4명이 심한 우울 증상을 겪고 있고, 6명 중 1명은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과 녹색병원은 지난달 16∼23일 전국 유·초·중·고 교사 3천505명(여성 2천911명, 남성 587명)을 대상으로 직무 관련 마음 건강 실태조사를 진행한 결과 교사 24.9%가 경도 우울 증상을, 38.3%는 심한 우울 증상을 보였다고 5일 밝혔다.
녹색병원에 따르면, 동일한 조사 도구로 일반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선 심한 우울 증상 유병률이 8∼10%에 그쳤다. 교사의 우울 증상 유병률이 일반인보다 4배 정도 더 높은 셈이다.
심한 우울 증상을 보인 비율은 여성 교사(40.1%)가 남성 교사(28.9%)보다 높았다.
학교급별로 봤을 때 심한 우울 증상을 보인 비율은 유치원 교사(49.7%)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초등교사(42.7%), 특수교사(39.6%), 중등교사(31.5%) 순으로 높았다.
극단적 선택을 생각하는 비율의 경우 교사들이 일반인보다 최대 5.3배 높았다.
이번 조사에서 교사의 16%는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 기준 일반 인구의 자살 생각 비율(3∼7%)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학교급별로 보면 유치원 교사(22.6%)가 가장 높았고, 이어 ▷특수교사(15.8%) ▷초등교사(15.4%) ▷중등교사(14.9%) 순이었다.
이외에도 교사들은 학부모 상담 및 민원 업무(37.5%)가 가장 어렵다고 답했다. 그 다음으로 학생 생활지도 및 상담(28.4%), 행정업무(23.5%)를 어려운 점으로 꼽았다.

특히 교사 가운데 66.3%는 언어폭력을, 18.8%는 신체 위협·폭력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폭력의 가해자 대부분(63.1%)은 학부모였으며 그다음이 학생(54.9%)이었다.
남성 교사보다는 여성 교사에서 폭력 피해가 더 많이 발생했다. 학교급별로 봤을 때 유치원 교사는 언어폭력 피해가, 특수교사는 신체 위협 및 폭력 피해, 중등 교사는 성희롱 및 성적 관심 피해가 컸다.
전교조는 "실태조사는 대한민국 교사가 이미 소진 상태라는 사실을 여실히 보여준다"며 "개인적 자질이나 노력으로 해결될 수 없는 사회구조적 위협 요인이 분명하며 사회·국가적 지원과 대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