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 북구 불종로 한 골목에는 특별한 식당이 있다. 메뉴는 비빔밥, 제육덮밥, 칼국수, 수제비 등 간단한 식사류라 달라보일 게 없지만 이 식당의 특별한 점은 사람들이다. 이 식당의 종업원들 대부분이 청각장애인이기 때문. 청각장애인이 종업원으로 일하는 식당은 대구경북지역은 물론이고 전국에서도 찾기 힘든 곳이다. 식당의 이름은 '수화식당'이다. 식당을 창업한 김소향 대표를 만나봤다.
김 대표는 식당을 차리기 전에는 수어통역사로 일했었다. 김 대표의 남편도 청각장애가 있다. 그래서 청각장애인의 애환을 가장 가까이서 지켜보는 청인(聽人)이기도 하다. 식당을 만든 것도 청각장애인을 위해서였다.
"제가 수어통역사로 일하면서 청각장애인들이 일자리를 얻는 과정이 정말 쉽지 않다는 걸 옆에서 지켜봐왔잖아요. 남성 청각장애인들도 취업이 어려운데 여성 청각장애인들은 더 어려울 수 밖에 없잖아요. 그래서 여성들도 할 수 있는 게 뭘까 생각하다가 식당을 생각한 거예요. 음식은 다들 할 수 있으니까요."
'수화식당'은 주방 뿐만 아니라 음식 주문을 받고 내는 것까지 모두 청각장애인 종업원이 해 내고 있다. '제대로 주문을 할 수 있을까'라는 걱정이 들었지만 기우에 불과했다. 종업원이 메뉴판을 들고 오면 손님은 주문할 음식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주문을 완료한다. 처음 오는 손님들은 낯설 수 있지만 익숙해지면 단골이 되는 건 시간문제다.
"장사가 잘 될까 저도 걱정했는데 다행이 조금씩 입소문이 나기 시작했어요. 특히 케이터링에서 '맘 카페'나 관공서 쪽을 통해 많이 알려지기 시작하면서 찾는 분들이 많아졌죠. '수어 주문 시 할인'같은 경우도 직원들이 간단한 수어를 알려주고, 다음에 오면 그 수어를 써서 주문하시는 분이 늘어났어요. 그러면서 '아, 수어가 어려운 게 아니었구나' 하시죠."
식당 창업은 김 대표도 처음인지라 좌충우돌이 없지 않았다. 하필 문을 연 시점이 2020년, 코로나19가 기승을 부릴 때였다. 그래서 장사가 잘 될까 걱정했지만 방향을 케이터링(출장 식사 제공)과 배달 등으로 확장하면서 활로를 찾았다. 식당 자리도 찾다찾다 자리잡은 곳이 포항의 옛 도심의 폐업한 나이트클럽 1층이었다. 그래서 식당 천정에 조명기구가 남아 있어 식당을 빌려 행사를 하는 경우에 사용하기도 한다고.
'수화식당'을 통해 청각장애인들에 대한 비장애인들의 인식이 개선되는 부분도 있지만 이 곳에서 일하는 청각장애인들도 사회와의 접점을 늘리면서 자립의 단초를 마련하는 이점도 있다. 서로가 '윈-윈'하는 방식인 것이다.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만나는 접점이 적을 수 밖에 없었던 이유가 언어 소통의 문제였거든요. '수화식당'은 만남의 접점이 되는 거죠. 사실, 케이터링 서비스만 하면 돈은 더 많이 남지만 매장 운영을 포기할 수 없는 이유가 결국 서로 만나서 마음의 벽을 허무는 공간으로 계속 기능했으면 하는 마음 때문이죠."
그래서 김 대표는 '수화식당'을 통해 청각장애인을 포함한 장애인들의 안정된 고용을 보여줄 수 있는 하나의 사례로 기억되기를 원한다.
"가장 가까운 목표로는 청각장애인이 직접 사장 역할까지 할 수 있는 '수화식당' 분점을 내는 게 목표예요. 그게 가능하도록 제가 도와드리는 게 아마 지속가능한 목표가 될 것 같네요."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