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지난 대선에서 윤석열 후보를 꺾고 당선돼 '논공행상'을 한다면 최대 공신은 대장동 의혹의 '김만배'가 아니었을까 싶다. '대선 공작' 의혹이 제기되고 있는 신학림 전 언론노조 위원장과 김 씨 인터뷰가 치밀한 선거 기획의 일환이라는 것이 검찰 수사로 드러나면 말이다.
지난 대선 투표일(3월 9일)을 사흘 앞둔 시점에서 보도된 '김만배 음성 파일' 기사는 박빙(薄氷)의 대선 구도를 바꿀 수 있는 폭탄이었다.
'윤석열이 커피를 타 줬다'는 거짓 보도는 대장동 의혹의 몸통으로 찍혀 있던 이재명 후보에게 천군만마였다. MBC, YTN, TBS 등 친(親)민주당 매체들이 집중 보도하면서 유튜브에 노출된 관련 동영상 조회수가 무려 1천100여만 회에 이르면서 대선 막판 대장동이라는 블랙홀에 빠진 이 후보를 구출하는 최대 변수로 작용했다. 0.73%포인트라는 근소한 차이로 판세가 좁혀진 것이다.
이미 김만배는 이 대표가 2018년 지방선거 과정에서 형의 정신병원 강제 입원과 관련한 허위 사실을 공표한 혐의로 기소돼 2심에서 300만 원 벌금형을 선고받아 피선거권이 박탈되는 정치적 위기에 처했을 때도 구출한 바 있다.
2020년 7월 16일 대법원 전원합의체(주심 김명수 대법원장)는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상고심에 대해 원심을 깨고 사건을 수원고법으로 돌려보낸다. 대법원이 기존 판례를 뒤엎는 새로운 판결을 내놓기까지는 권순일 전 대법관의 역할이 결정적이었다. 이 재판에서 선임 대법관으로 참여한 권 전 대법관은 "(TV 토론회에서 후보자가) 상대의 공격적 질문에 소극적으로 회피하거나 방어하는 취지의 답변으로 해석할 수 있는 표현을 하더라도 허위라고 평가할 수 없다"는 논리를 만들어 무죄판결을 내리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퇴임한 권 전 대법관은 대장동 개발사업 특혜 의혹을 받는 화천대유자산관리 고문으로 월 1천500만 원의 보수를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대법원의 심리 기간 중 김만배가 7차례나 권 전 대법관을 찾아가 만난 사실도 드러났다. 김만배의 뉴스타파 대선 공작 의혹 수사 진전 여부에 따라 다음 수사는 권 전 대법관이 연루된 '재판 거래 의혹'이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dioderot@naver.com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국정원, 中 업체 매일신문 등 국내 언론사 도용 가짜 사이트 포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