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부산시, 차세대 전력반도체 산업 육성 박차

전력반도체 현장방문 연계 주간정책회의

부산시청 전경. [사진=부산시]
부산시청 전경. [사진=부산시]

부산시가 차세대 전력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고 전력반도체 생산거점으로 도약하기 위해 박차를 가한다.

부산시는 11일 오전 기장 장안읍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에서 박형준 시장 주재로 전력반도체 현장방문 연계 주간정책회의를 개최했다.

전력반도체는 반도체 웨이퍼 소재로 실리콘 대신 탄화규소(SiC) 질화갈륨(GaN) 등을 사용해 고온에 강하고 전력손실이 적어 전기차와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쓰인다.

시는 이날 회의를 통해 현재 직면하고 있는 현안들을 점검하고, 부산이 전력반도체 생산거점 도시로 도약하기 위한 방법을 논의했다.

회의에는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소관 실·국장, 부산연구원장, 부산테크노파크 원장 등이 참석했다.

시는 회의에서 전력반도체 산업클러스터, 중입자가속기 구축, 수출형 신형연구로 등 부산의 미래 먹거리 사업이 집적화된 동남권방사선의과학 일반산업단지 현황을 점검했다.

이와 함께 안정적 전력공급 방안, 진입도로 개설, 유치기업 수요에 대응할 추가 부지 확보 등 산단의 지속적 발전을 위한 방안도 논의했다.

또 부산형 전력반도체 산업 육성 전략,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 발전방안 등에 대해 논의를 통해 향후 대한민국 전력반도체 생산거점이 될 부산의 반도체 산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밑그림을 그릴 예정이다.

소부장 특화단지 활성화를 위한 추진단 구성, 부산 특화 '반도체산업 생태계 조성' 로드맵 마련, 고성능 화합물 전력반도체 전주기 기업 지원시스템 구축, 전력·가스공급·용수 등 기반시설 확충,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통한 기업 유치 방안 등을 논의했다.

전력반도체 육성 허브기관으로서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가 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연구개발(R&D) 역량, 기반시설(인프라) 확충을 통한 기술지원서비스 강화, 지산학 연계 실무중심형 전문인력 양성 확대 등의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하고, 탄화규소 전력반도체 생산·신뢰성평가·인증 등 일괄 공정 지원체계를 구축·운영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회의 후 박 시장은 전력반도체 공정 시설과 SK파워텍 등 파워반도체상용화센터 내에 자리 잡은 반도체 산업 현장을 확인하고 관계자들의 의견을 들었다.

박형준 시장은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한 세밀한 정책지원으로 '차세대 전력반도체 중심 도시 부산, 실현'을 앞당겨 '반도체 산업 초격차'를 이끌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