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선물 트렌드는 고물가 속 '가성비'와 특별함을 담은 '프리미엄', 개성이 뚜렷한 '가치소비' 3박자 양상이 드러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퍼진 코로나19 감염병 사태가 희미해지고 본격적으로 맞이하는 명절 연휴인데다 대체휴일과 공휴일 등 날짜가 인접해 열흘 이상을 쉴 수있는 황금연휴로서도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먼저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3%대로 치솟는 등 추석을 앞두고 장바구니 물가 부담이 늘어난만큼 가성비있는 선물세트를 구매하려는 소비자들도 같이 늘고 있다.
지역 백화점들은 품질은 높이면서도 합리적인 가격으로 구성된 선물세트를 잇따라 내놓고 있으며 경주와 예천, 영주 등 지역에서는 우수 농산물을 온라인몰이나 농산물 장터를 적극 활용해 할인된 가격으로 추석 성수품 장바구니 물가 부담을 낮추고 있다.
또 올해는 정부의 '부정 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 완화 조치에 따른 영향이 추석 선물세트 구성에 미치고 있다. 선물가 상한이 20만원에서 최대 30만원으로 올라가 고가 선물세트를 찾는 이들이 늘 것으로 예상되자 업계는 새 상품을을 내놓거나 물량을 늘리고 있다.
대백프라자는 20만~30만원대 선물세트 물량을 전년 대비 20% 이상 확대했다. 롯데백화점 대구점도 20만~30만원대 세트 상품을 새롭게 추가하고, 물량은 10~30% 이상 확대해 추석 고객들을 맞이한다. 축산은 20만~30만원 세트 품목 수를 전년보다 약 70% 확대했다. 대구 신세계백화점은 지난해 없던 신세계 암소 한우 다복(24만원)과 신세계 암소 등심 특선(25만원) 선물세트를 출시하기도 했다.
또 황금연휴 기간 여행을 택하는 이들이 가족들에게 고가의 선물을 하려는 경향도 보이고 있어 이런 소비자 니즈를 충족하기 위한 선물세트 구성도 눈길을 끈다.
현대백화점 관계자는 "올 추석에는 임시공휴일 지정 등 긴 연휴로 여행을 떠나는 대신 고향에는 고가(高價)의 선물을 보내려는 고객들이 늘어 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본판매 기간 높아진 소비자들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다양한 상품을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런 상황 속에 가격과 품질을 떠나 친환경, 저탄소 등 가치가 담긴 상품을 구매하는 '가치소비'에 중점을 둔 소비자들도 늘고 있다.
저탄소·유기농·무농약 등 가치소비 선물 세트 매출이 가치소비가 주목받기 시작한 2021년부터 매 명절마다 10~20% 수준으로 늘고 있어 지역 백화점들은 '가치소비'에 의미를 둔 선물세트를 앞다퉈 내놓고 있다.
롯데백화점은 전북 고창에서 다년간의 품종 개량 등으로 비육 기간을 일반 한우 대비 20% 이상 줄여 일반 한우 대비 배출되는 탄소를 65% 가량 저감시킨 '저탄소 한우 GIFT'를 선보인다. 현대백화점도 동물복지, 저탄소, 방목 사육, 무항생제 등 자연친화적이고 지속가능한 축산 환경에서 사육한 한우 선물 세트를 내놨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