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전세보증금, 서울은 오르는데…대구는 전국 최대 낙폭 기록

빌사부 제공
빌사부 제공

대구의 전세보증금 하락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공급 과잉의 부작용 중 하나로 보인다.

13일 부동산 전문기업 빌사부가 법원 등기부의 임대차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 평균 1억4천만원이던 대구의 전세금이 지난해 2억1천600만원으로 54.2%(7천600만원) 올랐다. 하지만 미분양과 입주 물량이 증가하면서 올해 8월 현재 1억9천500만원으로 9.7%(2천100만원) 내렸다. 이는 전국에서 가장 크게 떨어진 수준이다. 대구 다음으로는 세종과 울산이 약 1천만원씩 하락했다.

전세보증금 평균가액은 등기소와 주민센터에서 부여한 확정일자를 대상으로 하며, 차임이 존재하지 않은 전세에 대해서만 보증금의 평균을 산정한다.

빌사부 관계자는 "대구 미분양 아파트가 아직도 1만 가구가 넘고 새 아파트 입주 물량도 많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경기침체, 고금리 등으로 지난해부터 전국 집값이 내림세를 보이다 보니 전국적으로 이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는데 유독 서울은 전세금이 꾸준히 오르고 있다. 서울의 평균 전세보증금은 2017년 2억4천만원에서 지난해 3억2천만원으로 33.3%(8천만원) 올랐다. 올들어서도 8월 현재 3천만원 올라 3억5천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은 주택 공급이 여전히 부족한 만큼 서울만의 특수한 현상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세 건수는 전국이 모두 감소 추세를 보였다. 올 들어 지난달까지 대구 월평균 전세 건수는 2천560건으로 집계돼 지난해 월평균 건수(2천668건)보다 4% 남짓 줄었다. 전세사기가 큰 문제로 대두한 인천은 1천건으로 15%, 서울은 3천200건으로 10% 줄었다. 대전은 20%나 감소해 전국에서 가장 큰 하락률을 보였다.

송원배 빌사부 대표는 "미분양 물량이 해소되기 전까지 대구의 전세보증금 회복은 더딜 것으로 보인다. 과도한 입주 물량은 전세 물량 증가로 이어질 것이기에 전세보증금을 올려 받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서울과 지방의 전세보증금 격차는 더 커질 수밖에 없으며, 특히 서울은 공급 부족에 따른 집값 상승과 추후 재건축, 재개발 이주 수요까지 맞물릴 경우 전셋값 폭등을 불러올 수 있다"면서 "획일적인 부동산 정책이 아니라 서울과 지방 각각의 상황에 맞는 전략적 부동산 정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빌사부 제공
빌사부 제공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