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는 때로 기회가 되기도 한다. 위기를 맞았지만 이를 기회 삼아 제 2의 인생을 열고, 타인의 삶까지 도움을 주는 사람이 있다. 대구 북구 국우동에서 이발소를 운영하는 이득화(71) 씨가 바로 그 주인공이다.
이 씨는 올해 대구시청이 주는 '자랑스러운 시민상' 선행·효행 부문 본상을 수상했다. 어르신 가정과 결손가정을 대상으로 정기 이·미용봉사활동부터 어르신을 위한 교통캠페인, 위문품 전달 등 다양한 이웃사랑을 실천한 덕분에 받은 상이었다. 이 씨의 이발소 안에는 23년간 이 씨가 행한 다양한 봉사활동을 통해 받은 상장과 표창장, 상패들이 한 쪽 벽면을 가득 메우고 있었다. 이 씨는 "손님들 중에는 상장 걸려있는 벽을 보면서 '도대체 무슨 일을 하시는 분이냐'며 놀라서 묻는 분도 계셨다"고 말했다.
이 씨의 이발사 경력은 봉사활동 경력과 같은 23년이다. 나이에 비해 늦게 이발 기술을 배운 셈이다. 늦깎이로 이발사의 길에 들어서게 된 계기는 다름아닌 IMF 외환위기 때문이었다.
"당시 창원에 있던 대기업 직원이었습니다. 그런데 IMF로 인해 구조조정 칼바람이 몰아치면서 저도 그 칼바람 맞고 퇴직해야 했었습니다. 그 때가 한창 더운 여름이었는데 우연찮게 이발하러 이발소에 갔더니 왠지 그 직업이 부러워 보였어요. 그래서 이발사 분께 '사장님은 여름엔 시원한 데서 일하시고 겨울엔 따뜻한 데서 일하시니 좋겠습니다'고 하니 그 분이 멋쩍게 '이발 기술 배워두면 밥은 굶고 살지 않습디다'라고 하셨어요. 그 길로 이·미용 기술학원을 찾아갔지요."
살 길 막막하던 차에 한 줄기 빛이 된 이발 기술로 '밥은 굶고 살지 않겠다' 싶었던 이 씨는 일가 친척의 조언으로 당시 신축이었던 아파트 상가에 이발소를 열었다. 자격증을 따고 겨우 기술을 익힌 '초짜' 이발사였던 이 씨는 이 때 봉사활동의 길도 함께 걷게 되는 기회를 만난다.
"동네 근처 교회 목사님이 제 이발소 손님으로 오셨는데 '우리 식구들이 많은데 이발 봉사를 해 줄 수 있겠느냐'고 말씀하시더라고요. 무슨 말인가 했는데 교회에서 운영하는 아동복지센터에 와서 아이들의 이발을 해줄 수 있느냐는 말씀이었죠. 한창 이발 기술 자체에 적응하며 이발소를 운영하던 때라 흔쾌히 나섰고, 그게 인연이 돼서 사회복지 공무원에게 소개받은 어르신들의 이발을 해 드리기도 했죠. 그러면서 이발 기술도 자연스럽게 늘어나면서 이발사로 자리잡을 수 있었습니다."
이 때를 계기로 이 씨는 이발 봉사를 비롯해 '사랑나눔 교통봉사단'을 통해 지역민을 위한 봉사활동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봉사활동을 더 잘 하기 위해 사회복지에 대한 공부도 하면서 사회복지학 석사학위도 취득했다. 이러한 이 씨의 봉사활동은 사람들의 입소문을 통해 조금씩 알려지면서 다양한 매체에 소개됐다. 2021년에는 구조조정을 통해 자신을 해고했던 대기업이 만든 복지재단에서 이 씨에게 '의인상'을 주기도 했다.
지금도 이 씨는 매주 화요일 이발소 휴무일에는 이발 봉사활동을 나간다. 이 씨는 자신이 힘 닿는 데까지 봉사활동을 멈추지 않을 생각이다.
"봉사활동을 계속하게 되는 힘은 사람들의 정인 것 같아요. 할 때는 힘들때도 있지만 나중에 고맙다고 인사하는 어르신들의 말씀을 통해 힘을 얻어요. 열심히 일해서 돈 벌어온 만큼 이웃에 봉사하는 삶을 사는 거죠. 봉사활동하는 제 모습 보고 다른 사람들이 저를 모델 삼아 살면 사회가 좀 더 밝고 따뜻해지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경선 일정 완주한 이철우 경북도지사, '국가 지도자급' 존재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