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2차전지 특화단지 포항…기회발전특구까지 거침없는 행보

2차전지·수소 등 신산업 중심의 지방분권 강화
10월 중 2차전지 기업협의체 구성…‘K-배터리 기회발전특구’ 조성

지난 11일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린
지난 11일 포항문화예술회관 대공연장에서 열린 '2050 전지보국 대시민 보고회' 모습. 매일신문DB

2차전지 특화단지와 수소에너지클러스터를 진행 중인 포항시가 윤석열 정부의 지역균형발전 핵심 정책인 '기회발전특구' 지정에도 뛰어들었다.

기회발전특구는 지방의 대규모 기업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 세제·재정을 지원하고 규제 특례와 정주여건 개선 등을 패키지로 지원하는 사업을 말한다.

기회발전특구로 지정되면 세제 지원·규제 특례·재정 지원 등 10가지가 넘는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이전한 기업에게는 소득·법인세, 양도세, 취득세, 재산세뿐만 아니라 가업상속세까지 기업활동 전반의 세제 혜택이 제공된다.

18일 포항시는 블루밸리국가산업단지와 영일만산업단지 일원에 2차전지·수소·바이오·디지털 산업 등 미래 신산업을 중심으로 기회발전특구를 조성한다고 밝혔다.

지난 7월 국가첨단전략산업 2차전지 양극재 특화단지에 지정된 점을 앞세워 2차전지 산업을 중심으로 'K-배터리 기회발전특구' 조성에 힘을 쏟는다는 전략이다.

포항시는 지난해부터 선제적으로 '포항형 기회발전특구 추진전략'을 위한 용역을 추진해 왔으며, 올 연말까지 기본계획을 완성할 계획이다.

또한 기회발전특구의 신청 주체인 경북도와 긴밀한 협업 체계를 구축하며, 산학연관의 유기적 협력체계를 유지하며 특구 추진단도 가동키로 했다.

이를 위해 2차전지 선도기업인 에코프로와 포스코퓨처엠 등과 중소기업까지 참여하는 '2차전지 기업협의체'를 다음달 내 출범하고 핵심 기술 확보부터 제품 양산까지 기업 간 상생 협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지방은 인구감소와 수도권 쏠림으로 인한 소멸의 위기에 처해 있다"며 "기회발전특구를 반드시 유치해 신산업 R&D 강화, 고급인력 양성·유치, 교통인프라 및 정주 여건 개선 등 포항을 지속발전 가능한 도시로 만드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