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방부가 18일 구미코에서 대구경북신공항 전략환경영향평가 관련 주민설명회를 연 가운데 대구경북신공항 활주로 방향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구미 해평면, 산동읍 주민 등은 군용항공기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활주로 방향 변경을 요청했지만, 국방부는 군작전 등의 이유로 '활주로 방향 변경 불가' 입장에 재차 못을 박았기 때문이다.
이날 구미코에서 열린 주민설명회는 국방부 관계자, 대구시 관계자, 시·도의원, 시민 등이 모여 대구경북신공항 이전에 따른 소음이 다뤄지면서 '구미 방향'으로 예정된 활주로가 논란의 중점 대상이 됐다.
주민들은 구미지역에 항공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음에도 사전 소통이나 협의 없이 활주로를 구미 방향으로 지정한 것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또한 국방부가 주민들의 재검토 요청에도 '활주로 변경 불가' 결과를 정해둔 채 검토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에 대해서 지적이 일었고, 일부 주민은 '하늘 길'이 없다는 국방부의 주장에 새로운 하늘 길을 개척할 것을 요청했다.
조종사 출신의 한 주민은 "평지를 두고 구미 방향인 산악 지형으로 활주로를 두는 것이 이해가 되지 않는다. 또한 인근 공항을 살펴보면 보통 남동풍, 북서풍에 맞춰 비행장을 짓는데 대구경북신공항처럼 북동 방향으로 짓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국방부는 '조종사, 관제탑 관계자 등 항공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했을 때 최적의 군 작전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현재 예정된 활주로 방향이 적합하다'고 논란을 일축했다.
국방부 관계자는 "대구경북신공항 이전은 대구 군 공항을 이전해 정상 작전을 진행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며 "군도 평지로 활주로를 이동하고 싶지만 부지가 정해지는 순간 활주로 방향도 정해진다. 이 때문에 예정된 활주로가 산악지대를 지나가더라도 감수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소음으로만 따지자면 군위와 의성에 소음 피해가 더 심하다. 구미는 반대급부로 해발고도가 높은 곳에 활주로가 지어지기 때문에 소음의 영향은 있겠지만 시설물 설치 제한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대구경북신공항 소음피해 해평면 비상대책위원회'도 해평농협에서 'K2 비행장 활주로 해평방향 결사반대'를 주장하며 활주로 방향 변경의 목소리를 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