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23, '화려하게 꽃피는 탈과 탈춤'

10월1일 전야제, 9일까지 안동역·원도심·탈춤공원서
옛 철도부지에 메인 무대, 축제공간 남북으로 확장해
민속축제와 분리, 탈·탈춤의 독자적 콘텐츠와 정체성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23'이 10월 1일 전야제를 시작으로 9일까지 '화려하게 꽃피는 탈과 탈춤'이라는 주제로 안동역과 탈춤공원, 원도심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해 도심에서 열린 축제 모습. 매일신문 D/B

세계보편문화인 탈과 탈춤을 기반으로 세계인을 하나로 만드는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2023'이 10월 1일 전야제를 시작으로 10월 9일까지 옛 안동역 및 원도심과 탈춤공원 일원에서 개최된다.

축제의 모태인 안동 하회별신굿탈놀이가 '한국의 탈춤'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으로 발판으로 '화려하게 꽃피는 탈과 탈춤'이라는 주제로 마련된다.

올 해는 안동민속축제와 분리해 탈과 탈춤이라는 독자적 콘텐츠와 정체성을 가지고 화려하게 막을 연다.

올해 축제의 공간은 원도심 옛 기차역을 중심으로 남북으로 확장해 도심지역에서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운영한다.

낙동강변 탈춤공원에는 국내·외 탈춤공연과 각종 체험, 먹거리, 놀이동산 등이 운영된다.

옛 기차역사 유휴부지에는 축제 메인무대를 꾸미고, 다양한 먹거리, 볼거리, 살거리, 체험거리 상점들이 들어선다.

도심 공간에는 음식축제가 열리고, 웅부공원과 문화공원에는 문화예술공연과 전시, 체험 행사를 진행한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23'이 10월 1일 전야제를 시작으로 9일까지 '화려하게 꽃피는 탈과 탈춤'이라는 주제로 안동역과 탈춤공원, 원도심 일대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해 축제 모습. 매일신문 D/B

축제 전야제인 10월 1일에는 옛 철도부지 내 메인무대에서 박현빈, 홍진영 등 연예인 초청공연으로 축제의 붐을 이끈다.

개막일인 10월 2일에는 축제의 시작과 모두의 안녕을 기원하는 하회별신굿탈놀이 강신(降神)마당과 원도심 퍼레이드가 볼거리를 제공한다.

올해 개막식은 첨단 융복합 테크놀로지와 전통 연희가 공존하는 공연으로 화려하게 막을 열고 불꽃놀이로 축제의 신명을 이어간다.

특히,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한국의 탈춤'과 현대 탈춤, 드론쇼, 시민들과 함께 호흡하는 형식의 대동난장으로 참여형 축제로 만들어 간다.

10월 6일부터 탈을 쓴 사람이라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세계탈놀이경연대회와 창작탈공모전, 탈을 쓰고 끼를 뽐내는 탈 탈랜트, 탈을 쓰고 무작위로 방송댄스를 즐기는 랜덤플레이댄스도 준비돼 있다.

시내 곳곳에서도 문화예술공연장과 세계탈전시관, 탈춤축제 메타버스 체험관, 옛사진 전시 등 탈춤 관련 콘텐츠들을 만나 볼 수 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해마다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전통탈춤 공연과 더불어 비지정 탈춤공연 전승에도 많은 노력을 기울여왔다.

10개국 11개 팀의 해외공연단과 작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된 국내공연단 18개 팀을 초청해 국내외 손꼽히는 공연을 선보인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안동을 찾은 제주입춘굿이 탈춤공원에서 공연된다.

권기창 안동시장은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하회별신굿탈놀이를 기반으로 대한민국 명예대표 문화관광축제라는 브랜드 가치를 뛰어넘어 지역이 만들고 세계인이 즐기는 축제로 더욱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23'이 10월 1일 전야제를 시작으로 9일까지 '화려하게 꽃피는 탈과 탈춤'이라는 주제로 안동역과 탈춤공원, 원도심에서 열린다. 사진은 지난해 도심에서 열린 축제 모습. 매일신문 D/B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