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추석 연휴를 '만족'하면서 보낸 대표적 인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이지 싶다. 법원의 구속영장 기각 결정으로 구치소가 아닌 병원에서 연휴를 보냈다. 국회 체포동의안 가결로 흔들리던 대표 자리는 영장 기각으로 오히려 더 공고해졌다. 박광온 원내대표 등 비명계 인사들이 정리되고 그 자리를 친명계 인사들이 차지했다. 영장 기각 덕분에 이 대표가 얻은 결과물이 하나둘이 아니다.
무엇보다 내년 총선 승리를 발판으로 차기 대통령 선거에 도전하겠다는 이 대표 구상에 더 힘이 실리게 된 것이 영장 기각의 가장 큰 소득이다. 이 대표가 연휴 기간 중 윤석열 대통령과의 영수 회담을 제안한 것은 회담 실현 그 자체에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윤 대통령 대척점에 이재명이 있다는 것, 내년 총선은 '이재명 체제'로 치러진다는 것, 민주당 대선 주자는 이재명이라는 것을 각인시키려는 포석이 깔려 있다.
내심 쾌재(快哉)를 부르는 이 대표와 환호작약(歡呼雀躍)하는 민주당에 재를 뿌리고 싶은 생각은 없다. 하지만 지적하고 넘어가야 할 게 있다. '총선 승리→대권 도전'이란 이 대표의 복안(腹案)이 실현되기까지 이 대표가 넘어야 할 고개가 많다는 사실이다. 영장 기각은 이 대표가 겨우 허들(hurdle) 하나를 넘었을 뿐이다.
구속영장 기각으로 이 대표가 구속 수사 부담에서 벗어나게 됐을 뿐 사법 리스크가 해소되거나 무죄를 받은 것은 아니다. 검찰의 구속영장 청구가 기각됐다고 해서 죄가 없다고 주장하는 것은 난센스(nonsense)다. 김경수 전 경남지사 등 구속영장 기각 후 재판에서 유죄 판결이 난 경우가 허다하다. 죄가 있고 없고를 따지는 본안 재판에서 무죄를 받아야 진짜 무죄다. 구속영장을 기각한 판사는 이 대표의 '위증교사 혐의'에 대해 "혐의가 소명되는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대장동·백현동 개발 비리와 쌍방울 불법 대북 송금으로 구속 기소된 인사가 24명에 달한다. 10여 가지 혐의를 받고 있는 이 대표가 재판에서 하나로도 유죄를 받으면 치명상을 입을 수밖에 없다.
이 대표는 몇 번이나 불체포특권을 포기한다고 해놓고 막판에 체포동의안 부결을 호소했다. 단식이 방탄용이란 사실을 자인한 꼴이었다. 입으로는 사즉생(死卽生)을 외치면서 정작 이 대표는 생즉사(生卽死)의 언행을 자주 보여줬다. 신뢰라는 정치적 자산을 스스로 무너뜨린 이 대표 앞에 신뢰 회복이란 무거운 숙제가 놓여 있다. 이를 해결하지 않으면 이 대표의 복안이 실현되기 어렵다.
친명계 의원들의 결사 옹위(擁衛)와 이른바 개딸들의 광적인 응원은 이 대표에게 오히려 독(毒)이 될 수 있다. 대선은 물론 총선 역시 중도층 표심을 누가 많이 차지하느냐 싸움이다. 이재명 1인 지배권을 지키기 위해 반민주·전체주의 정당의 모습으로 폭주하는 민주당에 중도층이 마음을 열 개연성은 많지 않다. 이 또한 이 대표가 넘어야 할 허들이다.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1년 5개월 동안 여야가 극단으로 갈려 대립하면서 민생이 뒷전으로 밀려났다. 대통령과 정부·여당 책임도 크지만 국회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과 이 대표의 책임도 그에 못지않다. 탄핵, 해임 건의, 특검 등으로 검찰 수사에 맞불을 놓으며 비리 방탄에 급급한 이 대표와 친명계 의원들로 인한 국력 소모와 혼란이 크다. 국가에 막대한 누를 끼치고 있다. 이것 역시 이 대표가 넘어야 할 고개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