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주권 보호를 위해 목소리를 내고 있는 컨슈머워치가 6일 최근 가격이 오른 우윳값과 관련한 논평을 내고 "'밀크플레이션' 대란, 소비자 이익 위한 시장경제 해법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컨슈머워치는 논평을 통해 "이미 미국 뉴욕, 일본 도쿄보다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하고 우유를 구매해야 하는 국내 소비자들의 우윳값 부담이 한층 상승할 예정이다. 1ℓ 3천원 흰 우유 시대를 맞이하게 되면서 밀크플레이션 시대가 도래했다. 우윳값 상승은, 빵·커피·버터는 물론 시중 식품업계와 외식산업 물가 상승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지적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2023년부터 이른바 '용도별 차등가격제'가 도입돼, 수요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원유 가격을 낮출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됐다. 하지만 원유·유제품이라고 해서 시장 질서의 치외법권 대우를 받고, 그 결과 소비자가 '울며 겨자 먹기'로 고비용을 부담해야 하는 현실 또한 정상적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컨슈머워치는 "공급이 수요를 초과하고,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이 충분하며, 더 활발한 무역을 통해 양질의 제품을 확보할 수 있다면, 소비자는 더 낮은 가격을 지불할 권리가 있다. 또한 이것이 국내 낙농업계, 유제품 업계의 경쟁력을 높이는 근본 해법임을 잊어선 안 된다. 유제품 시장에서 소비자 부담을 덜기 위해서는 수요와 공급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는 자유시장 질서를 더욱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포항 찾은 한동훈 "박정희 때처럼 과학개발 100개년 계획 세울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