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재임 중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정책의 신뢰를 잃었던 것이 뼈아프다"고 토로했다.
문 전 대통령은 7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김수현 전 청와대 정책실장이 출간한 '부동산과 정치'라는 책을 소개하면서 "부동산 문제에 대한 그의 소회는 바로 나의 소회와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저자가 부동산 정책을 담당했던 2019년 6월까지는 과잉 유동성으로 인한 세계적인 부동산 가격 급등 속에서 한국이 비교적 선방한 기간"이라면서 "하지만 다음해부터 코로나 대응을 위한 세계 각국의 대대적인 돈 풀기와 초저금리로 과잉 유동성의 거품이 최고에 달하면서 부동산 가격 폭등이 더욱 가팔라졌고 한국도 예외가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부동산 정책 면에서 아쉬움이 컸던 것은 그 기간"이라며 "비록 사상 초유의 상황이었지만 정책에서 실책과 실기도 있었다. 여론이나 포퓰리즘에 떠밀린 부분도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이제 부동산은 주거의 문제를 넘어 자신 불평등과 세대 격차의 문제로 커졌다. 그만큼 더 큰 안목의 대책이 필요할 것"이라면서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어떻게 평가하든 성찰과 교훈이 되길 바라면서 책을 추천한다"고 덧붙였다.
김 전 실장은 최근 출간한 책에서 집값 폭등의 원인은 공급부족, 세금 문제가 아닌 유동성 과잉 탓이라고 주장했다. 정책으로 집값이 올라간 것이 아니라 집값 상승기에 정부가 집권한 것이라는 취지의 설명이다.
다만 그는 부동산 대출을 더 강하게 억제하지 못했고, 부동산 규제의 신뢰를 잃은 점 등 실책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한편 감사원은 지난달 김수현 전 실장과 장하성·김상조·이호승 전 정책실장, 김현미 전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국가 통계를 조작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검찰에 수사를 요청했다.
집값 통계 조작과 관련해 감사원은 국토부 산하 한국부동산원이 매주 1회 발표하는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통계가 2017년 6월~2021년 11월 최소 94회 조작됐다고 밝혔다.
그 과정에서 청와대와 국토부가 통계법을 어겨가며 부동산원이 작성 중인 통계를 미리 받아보는 일을 반복했다는 것이 감사원 판단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