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수능 준비 때문?…작년 전국 고교생 2만3천440명 자퇴

코로나19 이후 자퇴생 매년 증가…고1이 절반 이상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 연합뉴스

최근 3년(2020~2022년) 새 고등학교 자퇴생 수가 매년 증가해 코로나19 유행 이전 수준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입 정시 및 내신 절대평가 확대로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준비를 위해 학교를 그만둔 경우가 증가한 것으로 풀이된다.

국회 교육위원회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4년(2019~2022년) 간 고등학교 자퇴생(학업중단) 현황에 따르면, 2019년 2만4천68명이던 자퇴생 규모는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실시된 2020년 1만5천163명으로 급감하다가 2021년 1만9천467명, 2022년 2만3천440명으로 유행 이전 수준에 근접했다.

최근 4년간 고교 자퇴생(8만2천138명)을 학년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인 53.1%는 1학년(4만3천577명)이었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줄었다.

지난해의 경우 1학년이 1만2천78명(51.5%)으로 과반수를 차지했고 2학년 9천271명(39.6%), 3학년 2천91명(8.9%) 순이었다.

2019~2022년 대구 일반고 자퇴생은 407명에서 545명, 특목고 자퇴생은 81명에서 99명으로 증가했다. 이 기간 경북 일반고 자퇴생은 521명에서 646명으로, 특목고 자퇴생은 52명에서 62명으로 늘었다.

한편, 종로학원이 대학정보공시 '대학알리미' 자료를 토대로 전국 4년제 대학 검정고시 출신 입학생 수를 분석한 결과 2019년 4천521명에서 올해 7천690명으로 70.1% 증가했다.

강 의원은 "코로나19 시기를 겪으며 비대면 수업을 겪었던 학생들이 학교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거나, 대면 수업에 적응하기 어려웠던 이유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교육 현장에서는 이런 흐름이 더 심해질 것으로 우려하는 만큼 이에 대한 교육 당국의 제도적 보완과 함께 공교육의 정상화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