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우유에 이어 설탕·소금 가격도 들썩…외식물가 상승 압박 커지나?

서울 서초구 양재 하나로마트에서 시민들이 천일염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서울 서초구 양재 하나로마트에서 시민들이 천일염을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설탕과 소금의 물가 상승률이 1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에 들어가는 설탕과 소금 물가가 오르면서 외식 물가 상승이 전망된다.

1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설탕 소비자물가지수는 141.58로 전년 동월 대비 16.9% 올랐다. 이는 지난해 9월(20.7%) 이후 가장 높은 수치로 전체 물가 상승률(3.7%)의 4배를 웃도는 수준이다. 가공식품 부문 물가상승률(5.8%)과 비교해도 2.9배 더 높다.

설탕은 과자와 빵, 아이스크림, 초콜릿 등에 주로 사용되는 재료다. 가공식품 물가에 영향을 미쳐 '슈거플레이션(설탕+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달 들어 원유(原乳) 가격도 오르고 있어 가공식품 부문 물가 상승 압박이 커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소금 물가 상승률은 17.3%로 지난해 8월(20.9%) 이후 최고 기록이다. 지난 6월 6.5%에서 7월 7.2%, 8월 12.4% 등 상승 폭도 커지고 있다.

폭우, 태풍 등 이상기후 영향으로 소금 생산량이 줄어든 데다 일본의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수요 증가가 소금 가격 상승을 견인했다. 소금 가격이 올라가면 외식 물가는 물론, 간장 등 가공식품 가격도 덩달아 오를 가능성이 높다.

업계 내부에선 최근 가공식품과 외식 물가 상승률이 둔화세를 보이고 있고, 설탕과 소금이 전체 원재료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아 먹거리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란 의견도 있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우유는 좀 다르지만, 가공식품에서 설탕과 소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아주 크지는 않다"며 "식품기업들이 제품 가격을 올린다면 이런 요인보다 인건비 상승, 고금리에 따른 이자 부담 요인으로 제품 가격을 올리려고 할 것"이라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