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 기업들이 고금리, 고환율, 고유가 등 이른바 '3고 현상'에 신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대구상공회의소가 지역기업 283개사를 대상으로 3고(금리, 환율, 유가)에 따른 '지역기업 자금사정 애로·지원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 업체의 절반 이상(55.5%)은 전년 대비 자금사정이 더 나빠졌다고 답했다. 자금사정이 나아졌다는 기업은 7.5%에 그쳤다.
자금사정이 나빠진 이유로는 매출감소(37.5%)를 가장 많이 꼽았다. 금리상승(21.3%)과 원자재가 상승(20.2%) 등도 주된 요인으로 지적했다.
은행 등 금융권으로부터 자금 조달 사정도 여의치 않았다. 자금조달이 어렵다(47.3%)는 업체가 원활하다(11.7%)는 업체보다 월등히 많았다. 그중에서도 건설업은 어렵다는 응답비율이 가장 높아 침체된 지역 건설경기를 반영했다.
자금조달이 어려운 이유는 고금리(36.9%)를 가장 많이 꼽았다. 대출한도 축소·심사강화(31.0%)와 담보·보증 한도 부족(14.3%)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이 금융권에서 이용 중인 대출금리는 4~5% 구간이 가장 많았다. 전체 평균은 5.06%로 집계돼 지난해 10월 4.3%보다 0.76%포인트(p) 상승했다.
정책자금 활용 여부에 관해서는 활용 중이라는 응답이 44.5%로 절반에 못 미쳤다. 건설업과 유통서비스업에서 활용도가 낮았다. 반면 자동차부품업은 67.6%로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였다.
정책금융을 활용하지 않는다는 기업들은 필요성을 못 느껴서(33.3%)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신청자격 미달(22.4%)과 정보부족(17.3%), 대출한도 부족(10.3%), 절차의 어려움(9.0%) 등 진입 장벽이 높은 것도 원인으로 지목됐다.
기업들은 자금애로 상황에서 긴축경영(26.9%)과 유보자금 활용(24.5%) 등 자체적인 대응도 하고 있지만, 금융권 차입(26.9%)과 정책금융 활용(11.7%) 등 외부조달로도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의는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경기부진 영향이 매출감소로 이어지고 있다. 금리뿐만 아니라 환율과 유가 등 3고 현상이 기업경영과 자금사정을 더 위축시키는 악순환이 나타나고 있다"며 "정책금융 한도를 확대하고, 선정기준 완화, 절차·서류 간소화 등 통해 이용 문턱을 크게 낮춰야 한다. 경제여건이 변동성이 커진 만큼 금융당국에서 특별금융지원에 대한 선제적인 검토와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지원정책 재정비도 필요한 시점"이라고 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