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총 "한국 실제 근무시간 OECD와 격차 줄어"

21년간 10시간 이상 감소…7개 업종은 OECD 평균보다 짧아

한국경영자총협회. 연합뉴스
한국경영자총협회. 연합뉴스

2001년 이후 우리나라의 업종별 실제 근로시간이 줄면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의 격차가 줄었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이 발표한 '업종별 근로 시간 현황 및 추이 국제비교' 후속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5개 업종의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은 지난 21년간 10시간 이상 감소하면서 OECD와의 격차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2001년과 지난해 수치를 비교할 수 있는 9개 업종을 분석한 결과, 주당 평균 실근로시간은 OECD가 지난 21년 동안 평균 1.4시간 감소하는 동안 우리나라는 평균 11.1시간 줄었다.

특히 보건·사회복지업(16.8시간), 숙박·음식점업(16.1시간), 도·소매업(13.3시간), 공공서비스업(11.5시간), 건설업(10.6시간) 등 5개 업종은 10시간 넘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수치만 보면 국내 19개 업종 가운데 7개 업종은 OECD 평균보다 주당 실근로시간이 짧았다.

OECD 평균보다 낮은 업종은 농림어업(7.1시간), 보건·사회복지업(3.1시간), 공공서비스업(2.2시간), 교육서비스업(1.3시간), 건설업(1.3시간), 전기·가스·증기업(0.8시간), 금융·보험업(0.4시간) 등이었다.

임금근로자 비중이 높은 업종을 분석했을 때, OECD 평균과 우리나라의 주당 실근로시간은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임금근로자 비중이 80% 이상인 9개 업종의 우리나라 평균 주당 실근로시간은 36.65시간으로 OECD 평균(36.74)과 격차가 미미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