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댐 건설로 길이 끊기면서 50년 동안 고통 속에 살고 있는 수몰민들이 지난해 경제성 부족을 이유로 중단됐던 '도산대교' 건설 추진을 촉구하고 나섰다.
도산대교는 안동시 도산면 의촌리와 섬촌마을, 예안면 부포리 등 2개면 9개마을 주민 1천100여 명이 지난 1976년 안동댐 건설로 도로가 수몰돼 끊기면서, 직선거리 2.72㎞밖에 안 되는 면사무소를 43.8㎞나 돌아가는 주민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추진돼 왔다.
이 사업은 2001년 건설 필요성 제기 이후 2004년 설계를 마치고, 2009년 착공 예산까지 배정됐으나 현실화되지 못한 채 차일피일 지연됐다. 그러다가 경북도가 2020년 본격 추진에 나섰지만, 지난해 용역 결과 경제성 부족 이유로 중단된 상태다.
경북도는 당초 도산서원과 인접한 곳에 도산면 분천리~의촌리를 잇는 도산대교를 구상했다. 하지만 문화재형상변경 허가와 도산서원 경관 훼손을 이유로 유림 인사들이 장소 이전을 요구했다. 그러자 경북도는 대안으로 도산면 동부리~부포리간 도산대교를 검토했다.
경북도가 대안으로 검토한 도산대교 주변에는 지난해 한국문화테마파크와 안동국제컨벤션센터 등 3대문화권사업이 준공돼 각종 시설물이 들어섰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도산서원·봉정사, 청보리축제를 비롯해 관광 인프라 조성 등 주변 여건을 고려하면 '도산대교 건설의 최적기'라는 반응이 나온다.

안동시 도산대교건설추진위원회는 지난 21일 도산면민 화합대회 행사장에서 댐 수몰지역의 고통과 한을 '도산대교 건설'로 보상해줄 것을 외치는 궐기대회를 가졌다. 궐기대회에는 도산대교추진위원회, 주민자치위원회, 이장협의회 등 지역주민 200여 명이 참석했다.
이들은 앞으로 도산대교 건설이 가시화될 때까지 지역 정치인과 국민권익위원회, 건설교통부 등 정부기관에 주민들의 요구를 전달할 계획이다.
최세동 도산대교건설추진위원장은 "도산대교 건설은 헌법에서 보장하는 최소한의 인간답게 살기 위한 몸부림이다"며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는 하루빨리 도산대교 건설을 추진해 소외된 수몰민들의 고통을 해소하고, 지역 관광 발전에 한 몫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호소했다.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