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연봉 3억 준대도 의사 못 구해" 전국 공공의료기관 구인난 심각

전국 공공의료기관 44곳, 의사를 확보하지 못해 67개 진료과 휴진
"공공의대, 지역의대 신설, 지역의사제 도입 필요"

1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에 대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13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등에 대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의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질의하고 있다. 연합뉴스

공공의료기관이 의사 수급에 차질을 빚는 현상이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일부 기관은 연봉을 배로 올리며 채용을 이어가고 있지만, 수개월째 빈자리를 채우지 한 것으로 드러났다.

22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정춘숙 의원이 전국 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1일 기준 전국 공공의료기관 44곳이 의사를 확보하지 못해 67개 진료과를 휴진했다.

이들 중 15개 공공의료기관 19개 진료과는 연봉을 인상해 채용 공고를 다시 올렸지만, 공석을 채우지 못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의료원 정신건강의학과는 2021년 9월에 최초로 채용 공고를 냈을 때 의사 연봉을 1억5천만원으로 제시했다가 의사를 구하지 못해 지난 8월 연봉을 3억원으로 올려 재공고했지만, 여전히 공석을 유지하고 있다. 이 밖에도 전북 군산의료원 안과, 서울은평병원 영상의학과, 목포의료원 안과 등이 최초 공고 대비 50% 인상된 연봉을 제시해 의사를 구하는 중이다.

또한 13개 기관 13개 진료과는 경영상의 이유로 연봉 인상을 못 하고 공고를 지속하고 있었고, 18개 기관 25개 진료과는 재정상의 이유 등으로 채용 공고를 한 번도 내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정춘숙 의원은 "공공의료기관이 의사 연봉을 올려 공고를 해도 의사 채용이 어려운 상황이라면 의료공백이 현실화한 것"이라며 "이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문제이기 때문에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지역의대 신설, 지역의사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