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 미래차 전환 구상 좌초 위기…지역 정치권 관심 절실

경주·영천·경산 일대 자동차 부품산업 '대전환' 추진
前 전부 사업 꼬리표 속 추가 선정 미적…"지역 정치권 힘 보태 동력 확보해야"

지난해 경북도청에서 열린 정부의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신청 및 선정을 위한 투자협약, 노사민정 상생 협약식 모습. 경북도 제공
지난해 경북도청에서 열린 정부의 지방주도형 투자일자리 신청 및 선정을 위한 투자협약, 노사민정 상생 협약식 모습. 경북도 제공

경북 경주와 영천, 경산 일대를 국내 최대 미래차 자동차부품 산업단지로 만들려는 구상이 현실화되는 길이 험난하다. 경상북도가 관련 지자체, 기업, 노조 등과 연계한 모델을 만들어냈지만 중앙정부 문턱을 넘기 쉽지 않아서다.

국회 소관 상임위원회 의원은 물론 지역구 의원들이 힘을 보태 사업 조기 선정을 끌어내야 한다는 지적이다.

23일 지역 정치권 등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근로자와 기업, 주민, 지자체 등 지역 경제 주체들이 근로 여건, 투자 계획 등에 대한 상생 협약을 할 경우 정부가 세제 특례, 투자, 근로자 복지 개선 등을 지원하는 '지방주도형 일자리사업'을 수시 공모로 접수하고 있다.

현재 ▷광주 ▷강원 횡성 ▷경남 밀양 ▷전북 군산 ▷부산 ▷경북 구미 ▷전북 익산 ▷대구 등 8곳이 선정돼 추진 중이다. 경북(자동차부품), 대구(화물소형자동차), 전남 신안(해상풍력), 충남 논산(농식품), 전북 전주(탄소소재) 등이 추가로 선정되기 위해 뛰고 있다.

경북의 경우 경주·영천·경산을 중심으로 한 10개 자동차 부품 기업과 함께 내연기관 중심에서 전기 등 미래차 부품 산업으로의 전환에 5천882억원을 투자, 일자리 777개를 창출하는 밑그림을 그리고 있다.

경북은 경기, 경남 다음으로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은 자동차 부품 기업체(1천414개, 전국 대비 13.7%)를 보유해 부품 산업의 대전환이 절실하다.

경북도는 정부의 지방주도형 일자리사업 공모에 맞춰 상생기금 조성을 통한 원·하청 동반성장, 노·사·민·정 상생 파트너십 형성 등 협력 모델을 만들고 지난해 말 협약식도 마치는 등 수년간 준비 작업을 벌였다.

하지만 올해 상반기 산자부 공모 선정에 실패하는 등 정부 지원을 끌어내는 데 애를 먹고 있다. 정부 측에선 경북도 구상에 미흡한 점이 있어 보완이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전해졌다.

이와 관련, 일각에서는 애초 지방주도형 일자리사업이 문재인 정부 대표 사업인 '상생형 일자리'(광주 캐스퍼 생산 공장이 대표적) 후속 사업인 탓에 정부의 추가 공모 선정 의지가 부족한 게 아니냐는 목소리를 낸다.

앞서 선정된 전북도 산하기관인 전북신용보증재단이 '군산형 일자리' 사업에 무리한 빚보증을 섰다가 수십억원을 떼일 위기에 처했다는 잡음이 최근 일고 있는 것도 정부 운신의 폭을 좁히고 있다는 반응이다.

이에 정부의 적극적인 움직임을 끌어내기 위한 지역 정치권의 관심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경북도 관계자는 "오랜 기간 준비한 미래차 대전환 구상이 외부적 요인으로 좌초된다면 지역 자동차 부품 업계에 큰 피해가 불가피하다"며 "지자체들 노력에 지역 정치권이 힘을 보태 사업 조기 선정의 동력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