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尹-빈살만, 43년만의 공동성명…“미래지향적 전략 동반자 관계 심화”

1980년 이후 역대 두번째 성명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충돌에 "민간인 공격에 반대"

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리야드의 야마마궁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와 함께 걷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리야드의 야마마궁에서 열린 공식 환영식에서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와 함께 걷으며 대화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과 모하메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정상회담 논의 등 양국 협력 방안을 담은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한국과 사우디 양국은 투자와 인프라 등의 분야에서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고,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충돌 사태에 대해서는 '민간인 공격에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한국과 사우디 간 공동성명 채택은 지난 1980년 이후 43년 만이다.

한국와 사우디는 24일(현지시간) 채택한 공동성명에서 "양국이 상호 투자를 더 확대할 여지가 크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1962년 수교 이후 교역규모가 400배 증가하고 양국 간 경제 협력이 상당히 높은 수준에 도달한 점을 환영한다"고 밝혔다.

양측은 우선 44개항 중 첫 번째 항에서 "2022년 수교 60주년을 맞이해 수립한 '미래지향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지속 심화·발전시켜 나가자"고 합의했다.

이를 위해 "교역 및 미래지향적 산업 분야 투자를 확대하겠다"며 "수소경제, 스마트시티, 미래형 교통수단, 스타트업 등 공통 관심 분야를 중심으로 상호 투자 확대를 적극 모색해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원자력의 평화적 이용, 전기뿐만 아니라 태양 에너지, 풍력 에너지 등 재생 에너지 및 사우디에서 한국으로 수출될 청정 수소 분야에서도 협력을 강화키로 했다"며 "수소 협력이 지속 확대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또 "제조업 분야 투자가 시장 확대·고용 창출·기술 이전 등 상호 간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크다"면서 제조업 협력을 지속 확대키로 했다.

건설 및 인프라 분야 협력 강화와 관련해서는 "네옴 프로젝트를 비롯해 사우디가 추진 중인 키디야, 홍해 개발, 로신, 디리야 등 기가 프로젝트와 이에 연관된 인프라 산업의 성공을 위해 함께 협력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교통·해수 담수화 등 인프라 분야에서 양국 간 협력을 추진할 필요성에 인식을 같이 했다면서 "비전 2030, 네옴 프로젝트 등 사우디가 추진하는 대규모 인프라 사업에서 금융 협력을 지속키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양측은 지역 및 국제 안보와 평화 구축에 기여하는 방식으로 국방·방산·대테러 협력도 강화키로 했다.

아울러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가 계속해서 한국의 원유 수요를 충족시켜주는 가장 믿음직한 동반자이자 원유 수출국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진 외교부 장관과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 외교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야마마궁에서 열린 한·사우디 협정 및 MOU 서명·교환식에서
박진 외교부 장관과 파이살 빈 파르한 알 사우드 사우디 외교부 장관이 22일(현지시간)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야마마궁에서 열린 한·사우디 협정 및 MOU 서명·교환식에서 '한·사우디 전략파트너십 위원회 설립에 관한 양해각서'에 서명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이 자리에는 윤석열 대통령과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 사우드 왕세자 겸 총리가 참석했다. 연합뉴스

▶국내 및 역내 평화와 안정을 위한 양국의 파트너십 범위도 확대된다.

양측은 최근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 긴장이 고조되는 상황에 대해 "국제법과 국제인도법에 따라 민간인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떠한 방식으로든 민간인을 공격하는 것에 반대하고, 고통받고 있는 민간인들에게 신속하고 즉각적으로 인도적 지원을 하기 위해 국제 사회와 함께 협력해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아울러 "두 국가 해법에 기반한 정치적 해결과 항구적 평화가 필요하다"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강화키로 했다.

예맨 문제와 관련해서는 "무고한 사상자를 발생시키는 무력 사용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정당화할 수 없다"며 "평화적 수단으로 위기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대량살상무기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위반하는 모든 행위를 규탄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