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정부에서 예산 670억원을 들여 광주시와 경남 창원시에 추진한 '거점형 수소생산기지'가 공급처를 찾지 못하면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24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노용호 국민의힘 의원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구축기지의 정상가동을 위해서는 최소한 생산능력의 35%을 만들어내야 하지만 공급처를 찾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35%를 생산해도 매년 광주기지 13억원, 창원기지는 16억원씩 손실이 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자료에 따르면 광주기지는 연간 1천460톤(t), 창원기지는 연간 3천650t의 수소를 생산할 수 있다. 하지만 올해 공급물량은 광주 361t, 창원 601t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
이는 당초 한국가스공사에서 실시한 수요조사 결과에도 한참 못 미치는 공급량이다. 지난 2021년 1월 한국가스공사 이사회가 조사한 수요 예측치에 비해 각각 14.7%, 52.3% 미달된 수치다.
또 한국가스공사가 경영 위기에 내몰리면서 추가 수요처 확보를 통한 생산과 매출 증대도 불투명한 상태다.
게다가 높은 생산 단가 문제도 발목을 잡고 있다. 현재 두 기지에서 천연가스를 물과 반응시켜 수소를 만드는 개질수소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석유화학 공정에서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부생수소 방식보다 생산 단가가 비싼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광주기지의 경우 개질수소가 ㎏ 당 3천783원, 창원기지는 ㎏ 당 1천523원 비싼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수소 1㎏을 생산하면 이탄화탄소 10㎏이 발생하는데 광주와 창원기지에는 탄소포집설비(CCU)도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가운데 한국가스공사는 평택에 3번째 거점형 수소생산기지를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노용호 의원은 "탈원전, 신재생 확대 정책에 매몰된 지난 정부가 제대로 된 수요 파악도 못한 채 개문발차(開門發車·문을 열고 차를 출발한다)한 대표 사례라고 생각한다"며 "윤석열 정부가 세계 1등 수소산업 육성을 위한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만큼 지금이라도 사업의 문제점을 면밀히 분석해 애물단지가 보물단지가 될 수 있도록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