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인요한, 광주찾아 무릎 꿇었다…"용서는 하되 잊지 말자"

與혁신위 첫 외부일정
방명록에 "광주가 대한민국 민주주의 완성해가고 있습니다"
외신 기자 통역하던 5·18 당시 회고도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참배를 마치고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참배를 마치고 돌아가고 있다. 연합뉴스

인요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30일 취임 후 첫 외부 일정으로 광주를 찾았다. 인 위원장은 5·18 민주화운동 희생자 묘역을 참배하면서 무릎을 꿇었다.

이날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찾은 인 위원장은 추모탑을 참배하고 행방불명자 묘역에 헌화한 뒤 5초가량 한쪽 무릎을 꿇은 채 묵념했다.

인 위원장은 방명록에 '광주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를 완성해 가고 있읍니다'라고 적었다. 준비한 문구를 옮겨적는 과정에서 오기로 인해 다시 작성하기도 했다.

참배를 마친 그는 "글씨도 잘 못 쓰고, 묘지 앞에서 말문이 막혔다"며 "도저히 표현하고 싶은데 표현이 나오지 않아 죄송하다"고 입을 열었다.

이어 "광주 민주화운동은 민주주의를 발전시키는 데 큰 업적이었고, 우리 기억 속에 남아있다"며 "유대인들이 한 말을 빌리자면, '용서는 하되 잊지 말자'"라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자식들한테 광주의 의미를 잘 가르쳐서, 또 광주의 피해자 가족이나 돌아가신 분의 후손들을 적극 챙겨서, 지금까지는 지방에서 잘해왔지만, 이제는 중앙에서 다 포용하고 어디에든 가서 자랑스럽게 자신의 조상이나 어머니·아버지를 자랑스럽게 이야기할 수 있는 나라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행방불명자 묘역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 행방불명자 묘역에서 한쪽 무릎을 꿇고 묵념하고 있다. 연합뉴스

인 위원장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시민군 편에서 외신 기자들을 위해 통역을 하기도 했다. 그는 "시민군 대표 말씀이 오늘날까지 귀에 쨍쨍 울린다"고 당시를 회고하면서 "두 가지 또렷한 기억이 남아있다"며 '북쪽을 향해서 우리를 지켜주는 총이 왜 남쪽으로 향하는지 모르겠다. 너무 원통하다', '우리를 공산주의자라고 하는데 우리는 매일 애국가를 부르고 반공 구호를 외치고 하루 일정을 시작한다' 등 당시 시민군 대표 발언을 전하기도 했다.

인 위원장의 광주행에는 혁신위원 13명 전원이 함께했다.

5·18 3단체(유족회·부상자회·공로자회) 측은 인 위원장을 만나 5·18민주화운동의 헌법 전문 수록, 국가유공자법 개정 등을 요청하는 건의문을 전달했다.

황일봉 부상자회장은 "윤석열 대통령이 후보 시절 헌법 전문 수록을 약속했다"며 "헌법 수록과 5·18 유공자들을 국가유공자로 승격해달라"고 말했다. 이에 인 위원장은 "꼭 전달하고 관철되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했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 영령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인요한 혁신위원장이 30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 5·18 민주묘지에서 5·18 영령에 대한 묵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