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에 잠재적 부실기업이 급증하고 있다. 건설업체 10곳 중 4곳은 영업이익으로 이자도 갚기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한건설정책연구원의 '건설 외부감사 기업 경영실적 및 한계기업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잠재적 부실기업으로 분류된 건설업체는 929곳으로 전체 외부감사 기업(2천232개)의 41.6%를 차지했다. 이 비율은 2018년 642개(32.3%)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잠재적 부실기업은 기업의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를 의미한다.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업체는 영업이익보다 이자비용이 많아 정상적인 영업활동이 어려운 취약기업으로 분류된다.
3년 연속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인 한계기업은 지난해 기준 387개로 18.7% 차지했다. 한계기업은 외부의 도움 없이는 정상적인 경영활동을 유지하기 어려운 부실기업을 뜻한다. 한계기업은 2020년 305개에서 지난해 387개로 26.9% 증가했다.
지역별 분포는 수도권(17.4%)보다 비수도권의 비중(20.3%)이 더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증가율도 수도권(0.8%p)보다 비수도권의 증가율(2.3%p)이 더 높았다. 대구경북에서 한계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21.1%로 전국 평균(18.7%)보다 높게 형성됐다. 전국 평균보다 높은 지역은 세종(50.0%), 제주(34.4%), 경남(29.6%), 광주(28.4%), 충남(22.2%), 서울(19.6%), 부산(18.8%) 등이다.
연구원은 물가상승에 따른 금리 인상으로 인해 이자비용 부담이 급증한 것을 한계기업이 증가한 원인으로 분석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건설자재 비용 상승과 수익률 악화 또한 영업이익을 감소시켰다.
김태준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내년부터 건설업계의 전반적인 부실이 본격화될 것"이라며 "건설업계의 유동성 공급을 현실화하고 부실기업들에 대한 선제적인 구조조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댓글 많은 뉴스
전한길 "탄핵 100% 기각·각하될 것…尹 복귀 후 개헌·조기총선 해야"
앞치마 두른 'BTS 진', 산불피해지역 안동 길안면서 급식 봉사
"헌재 결정 승복 입장 변함없나" 묻자…이재명이 한 말
탄핵심판 선고 D-1…이재명 "尹계엄에 최대 1만명 국민 학살 계획 있었어"
尹 선고 지연에 다급해진 거야…위헌적 입법으로 헌재 압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