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방침 발표 후 치러진 2024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수학 영역에서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문제가 출제됐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민정·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교육 관련 시민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사걱세)은 6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수능 수학영역 46개 문항 중 6개 문항(13.4%)이 고교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난 킬러문항이었다고 주장했다.
킬러문항으로 지목된 6개 문항은 공통과목 3개(14번, 15번, 22번), 선택과목 3개(확률과 통계 30번, 미적분 28번, 기하 30번) 등이다.
우선 그래프를 추론해 함수의 극한을 푸는 문제인 14번에 대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서 벗어났고 사교육 교재를 통해 익힐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열 단원의 문제인 15번을 두고서는 "육과정에서 볼 수 없는 복잡한 형태"라고 주장했다.
정답률이 낮았던 22번의 경우 "선행학습을 한 학생에게 명백히 유리한 문제였고, 특정 사교육 학원 교재에 실려 있다"고 덧붙였다.
그 외에도 확률과 통계 30번과 기하 30번, 미적분 28번 등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범위와 수준을 벗어났고 교육과정 교수·학습·평가 방법 및 유의사항을 지키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사걱세는 "출제당국은 이번에 교육과정 내 출제를 유일무이한 출제 기준으로 삼았다기보다는 함정에 빠지기 쉬운 문항, 과도한 계산을 요구하는 문항 등 특정 유형을 배제한 것으로 보인다. 특정 유형을 배제하는 것만으로는 사교육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편 지난 6월 정부는 공교육에서 다루지 않는 내용의 문항, 과도한 계산을 요구하거나 풀이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문항 등 '킬러문항'은 수능과 모의평가에서 출제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교육당국은 지난달 치러진 수능에서 킬러문항은 나오지 않았으며 까다롭다고 평가받는 문항도 교육과정에 위배되지는 않았다고 설명한 바 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