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은 금리와 부동산 경기 회복 지연 등의 여파로 올해 3분기 금융권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과 연체율이 모두 상승했다.
11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연체율은 지난 9월 말 기준 2.42%로 6월 말 2.17%보다 0.24%p 상승했다. 지난해 말 1.19%보다 1.23%p 올랐다
대출 잔액은 134조3천억원으로 지난 분기보다 1조2천억원 늘었다.
업권별로는 신용협동조합, 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 PF 대출 연체율은 일부 대규모 사업장 연체가 반영된 탓에 4.18%를 기록했다. 지난 분기 말 기록한 1.12%보다 3.05%p 상승했다.
금융위는 상호금융권 자본과 충당금 적립 규모 등을 감안할 때 전반적인 건전성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작다고 분석했다.
저축은행권(5.56%)과 보험업권(1.11%) 연체율도 각각 0.95%p, 0.38%p 올랐다.
PF 대출 연체율이 13.85%로 업권 중 가장 높은 증권사들은 지난 분기 17.28%보다는 3.43%p 하락했다.
은행권 연체율은 0.23%p 하락해 다시 0% 수준으로 떨어졌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정상 사업장에는 금융을 공급하고 사업성이 부족한 사업장에 대해선 재구조화를 유도해 점진적 연착륙을 이끌고 있다"며 "PF 리스크가 금융시스템 전반으로 확산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금융위는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리스크도 점검했다. 국내 금융회사의 해외 부동산 대체 투자는 모두 55조8천억원으로 금융회사 총자산의 0.8% 수준이었다.
금융위는 향후 글로벌 자산 가격 하락으로 손실이 확대되더라도 충분히 대응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금융위는 "엄격한 조건을 가정해도 전 금융권의 최대 손실액은 자기자본 대비 미미한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골목상권 살릴 지역 밀착 이커머스 '수익마켓' 출시
대법원, 이재명 '선거법 위반' 사건 전원합의체 회부…노태악 회피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