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불수능 여파에 "수능 절대평가로 바꿔야" 주장까지

시민단체, 야당 의원 등 12일 국회 소통관서 기자회견
"사교육 성행 근본 원인은 상대평가 수능"
"대학별고사 영향력 커져 되레 사교육 늘 수도" 우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2024학년도 수능 결과에 대한 논평 및 대안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강득구 의원이 12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2024학년도 수능 결과에 대한 논평 및 대안 촉구 기자회견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의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 배제 방침에도 올해 수능은 난이도 조절을 실패한 역대급 '불수능'으로 평가되면서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과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128개 시민단체와 교원노조, 강득구·강민정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은 12일 기자회견을 열고 "수능 성적이 발표된 뒤 사교육 시장은 벌써부터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며 "사교육비가 매년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는 근본 원인은 킬러문항이 아니라, 대입이 상대평가 체제로 치러지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상대평가 수능에서는 '준킬러', '준준킬러문항'을 통한 변별 기제가 작동할 수밖에 없고, 그렇기에 단 0.0001점이라도 높이기 위해 사교육에 열을 올릴 수밖에 없다"며 "상대평가 구조에서 근본 원인을 외면한 채 사교육 경감 대책으로 킬러문항 배제와 사교육 카르텔 척결을 운운하는 건 옳지 않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이들은 교육부의 2028 대입 개편안 시안이 확정되는 내년 2월까지 고교 내신과 수능을 절대평가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수능 절대평가 전환 주장에 지역 교육계는 다양한 반응을 내비쳤다.

지역 한 입시학원 종사자는 "과거 참여정부 시절 비슷한 취지로 수능 9등급제 도입한 적이 있었으나, 수능에서 변별력이 약해진 만큼 논술 등 대학별고사의 영향력이 커지는 바람에 사교육이 더 늘어난 적이 있다"며 "대학 서열이 공고한 상황에 절대평가로 수능을 전환한다고 해서 사교육을 잡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 다른 지역 교육계 관계자는 "학교 교육 중심으로 나아가려면 중장기적으로는 절대평가 전환이 필요하다는 데 공감한다"면서도 "하지만 수능이 절대평가로 전환된다면 대학들은 최상위권을 변별하기 위해 자체 대학별고사를 통해 학생을 뽑으려 할텐데 이럴 경우 또 다른 이 대학별고사를 대비하기 위한 사교육 수요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도 함께 논의돼야 한다"고 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