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 이과에서 대학교 문과로 '문과 침공'한 학생들이 고교·대학 모두 이과인 학생보다 학교 적응에 애를 먹고 졸업 후 소득도 상대적으로 낮다는 분석이 나왔다.
24일 서울대 박사과정인 이보미·여홍은·정광호 씨와 정동욱 서울대 교수는 학술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한 '고교-대학 교육과정 계열 교차 진학이 대학생의 학업 적응과 노동시장 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라는 논문을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고교 이과에서 대학교 문과로 진학한 학생들은 학교 생활 적응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들은 고교·대학 모두 문과로 진학한 학생보다 대학 1학년 2학기와 2학년 2학기 등록률이 더 낮았고, 취업 후 소득도 이과-이과 진학생보다 적은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문과-문과 집단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과에서 이과로 교차 진학한 학생들도 학교 생활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들은 고교·대학 모두 문과로 진학한 학생보다 2학년 2학기 등록률이 떨어졌고 입학‧졸업 전공 시점의 전공 유지율도 더 낮았다.
다만 이들의 취업 후 월 평균 소득은 문과-문과 진학생보다 높았지만 이과-이과 진학생과는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교차 진학이 반드시 불리한 영향을 준 것은 아니라고 해석할 수 있는 대목이다.
연구팀은 "교차 진학생은 동일 계열 진학생보다 대학 적응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면서 "대입에서 교차 지원생에게 불리한 조건을 수정하고 대입 이후 교육을 통해 보완·지원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