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이 교육부가 추진 중인 '교육발전특구' 지정에 박차를 가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달성군은 최근 10년 새 젊은층의 유입으로 대구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장 젊은 도시(평균 연령 42.2세)라는 점을 내세우는 등 다양한 연령대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집중 부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달성군은 최근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내년 1월 말쯤 나올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는 달성군 지역 여건에 맞는 늘봄 및 자율형공립고 운영 활성화 등 교육개혁과제와 연계한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또한 연구용역을 통해 테크노폴리스, 국가산단 및 제2국가산단, 지방산단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국책연구기관 등이 입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역 산업 전략과 연계한 차별화된 특구운영 모델도 제시할 방침이다.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되면 30억원에서 100억원까지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공교육 활성화를 통한 지방 시대 견인'이라는 정부의 방침이 성공을 거둘 경우 지방소멸이라는 우려에서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달성군은 보고 있다.
달성군 관계자는 "지역에서 나고 양질의 교육을 받은 인재들이 그대로 지역에서 일자리를 얻어 정주할 수 있는 '달성군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되면 지역 교육·취업·정주 기반 조성이 한꺼번에 이뤄져 양질의 공교육을 통한 지역 발전이 견인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육발전특구=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교육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 지자체와 교육 당국이 힘을 합쳐 공교육을 활성화해 지역 격차를 해소하는 게 목적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향후 3년 간 국비 30억~100억원이 지원된다. 1차 공모는 내년 3월 초 발표 예정이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