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달성군 교육발전특구 지정 총력 "인재 이탈 막아 지역 발전 견인"

젊은층 유입 대구 유일 인구 증가 도시…다양한 연령대 맞춤형 교육 제공 집중 부각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 발주…차별화된 달성군 모델 제시

달성군청 전경.
달성군청 전경.

대구 달성군이 교육부가 추진 중인 '교육발전특구' 지정에 박차를 가하고 나서 귀추가 주목된다.

달성군은 최근 10년 새 젊은층의 유입으로 대구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가장 젊은 도시(평균 연령 42.2세)라는 점을 내세우는 등 다양한 연령대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집중 부각하고 있다.

이를 위해 달성군은 최근 '교육발전특구 시범지역 지정을 위한 연구용역'을 발주했다. 내년 1월 말쯤 나올 연구용역 결과보고서에는 달성군 지역 여건에 맞는 늘봄 및 자율형공립고 운영 활성화 등 교육개혁과제와 연계한 방안이 담길 예정이다.

또한 연구용역을 통해 테크노폴리스, 국가산단 및 제2국가산단, 지방산단과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국책연구기관 등이 입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역 산업 전략과 연계한 차별화된 특구운영 모델도 제시할 방침이다.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되면 30억원에서 100억원까지 지방교육재정 특별교부금을 지원받을 수 있다. 또한 '공교육 활성화를 통한 지방 시대 견인'이라는 정부의 방침이 성공을 거둘 경우 지방소멸이라는 우려에서도 벗어날 수 있을 것으로 달성군은 보고 있다.

달성군 관계자는 "지역에서 나고 양질의 교육을 받은 인재들이 그대로 지역에서 일자리를 얻어 정주할 수 있는 '달성군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라며 "교육발전특구로 지정되면 지역 교육·취업·정주 기반 조성이 한꺼번에 이뤄져 양질의 공교육을 통한 지역 발전이 견인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교육발전특구=지자체와 교육청, 대학, 지역 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해 교육혁신과 지역인재 양성 및 정주를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정책. 지자체와 교육 당국이 힘을 합쳐 공교육을 활성화해 지역 격차를 해소하는 게 목적이다. 특구로 지정되면 향후 3년 간 국비 30억~100억원이 지원된다. 1차 공모는 내년 3월 초 발표 예정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