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남북 관계를 '동족 관계'에서 '적대적 두 국가 관계'로 규정하고, 대한민국과 통일은 성사될 수 없다고 했다. 아울러 대한민국이 '흡수통일'을 고수한다며, 그동안 고수해 온 1국가 2체제 통일 방안의 수정도 시사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달 3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제8기 제9차 전원회 마지막날(5일 차) 회의를 연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고 조선중앙통신이 지난달 31일 보도했다.
김 위원장은 대한민국과 더 이상 통일 문제를 논하지 않겠다고 했다. 그는 "우리가 동족이라는 수사적 표현 때문에 미국의 식민지 졸개에 불과한 괴이한 족속들과 통일 문제를 논한다는 것이 우리의 국격과 지위에 어울리지 않는다"며 남북은 동족·동질 관계가 아닌 "전쟁 중에 있는 두 교전국 관계로 고착됐다"고 밝혔다.
아울러 쌍방의 군사분계선(MDL)에서 무력 충돌은 언제든지 전쟁으로 이어지는 '적대 국가'로 병존한다며 "현실을 인정하고 남조선 것들과 관계를 보다 명백히 할 필요가 있다. 우리를 '주적'으로 선포하고 외세와 야합해 정권 붕괴와 흡수 통일 기회만을 노리는 족속들을 화해와 통일의 상대로 여기는 것은 더 이상 우리가 범하지 말아야 할 착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조선중앙통신은 김 위원장의 입장 표명은 남북 관계사 분석에 따른 "근본적인 방향 전환 노선의 제시"라고 해석했다.
이날 김 위원장은 "남조선 위정자들의 공통점은 '정권붕괴'와 '흡수통일'이었다"며 이는 "하나의 국가, 두 개 제도에 기초한 우리의 조국통일노선과 극명하게 상반된다"고 했다.
이 같은 북한 측 입장에 학계에서는 "기존의 1국가 2체제 통일 방안인 '고려민주연방공화국' 창립 방안을 수정할 가능성도 있다"고 봤다. 또한 "북한이 남한과 교류를 접고, 영토 수복 등 군사주의적 통일전략을 채택할 수 있다"는 우려를 내놓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尹파면' 선고 후 퇴임한 문형배 "헌재 결정 존중해야"
'퇴임 D-1' 문형배 "관용과 자제 없이 민주주의 발전 못해" 특강
"조직 날리겠다" 文정부, 102차례 집값 통계 왜곡 드러나
이재명 "대구·경북의 아들 이재명, TK 재도약 이끌겠다"
안 "탈당해야" 김·홍 "도리아냐"…국힘 잠룡들 尹心 경계 짙어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