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의회, 광역의회 유일 종합청렴도 1등급…대구시의회 3등급

권익위, 2023년 지방의회 종합청렴도 결과 발표

광역의회 지역별 종합청렴도 현황.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광역의회 지역별 종합청렴도 현황. 국민권익위원회 제공

경북도의회가 국민권익위원회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광역의회 중 유일하게 1등급에 올랐다. 대구시의회는 3등급에 그쳤고 안동·포항시의회는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4일 지방의회 92곳(광역의회 17곳·기초시의회 75곳)을 대상으로 한 2023년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종합청렴도 평가는 지역주민·공직자·전문가 대상 설문조사 결과인 '청렴체감도'와 각 의회의 반부패 노력을 평가한 '청렴노력도'를 합산한 뒤 부패사건 현황을 감점해 산정된다.

평가 결과 광역의회 중에선 경북도의회가 유일하게 종합청렴도 1등급에 올랐다. 경북도의원의 의정 활동과 관련해 공직자·산하기관 임직원·의회사무처 직원이 응답한 '부패경험률'은 6.63%으로 광역의회 평균(9.04%)보다 낮게 나타났다. 대구시의회의 종합청렴도는 3등급에 머물렀고 의정 활동 부패경험률은 9.32%로 광역의회 평균보다 다소 높았다.

경북 기초시의회 10곳 중에선 경산·구미·경주시의회가 청합청렴도 3등급을 받았다. 문경·상주·김천·영천·영주시의회는 4등급으로 평가됐고 안동·포항시의회는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의정 활동과 관련한 부패경험률은 김천시의회가 29.18%로 기초의회 평균(16.92%)을 넘어섰고 경북 기초시의회 중에서도 가장 높았다. 경산시의회의 부패경험률은 11.24%로 경북 기초시의회 중 상대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이었다.

광역‧기초시의회 92곳의 올해 종합청렴도는 100점 만점에 68.5점, 지역주민·공직자 등 업무 관련자가 평가하는 청렴체감도는 66.5점으로 조사됐다. 지난달 28일 권익위가 발표한 행정기관·공직유관단체의 종합청렴도(80.5점) 및 청렴체감도(80.0점)와 비교하면 현격히 낮은 수준이다.

권익위는 이번 평가에서 지방의회 청렴 수준이 전반적으로 저조한 점에 주목해 '지방의회 반부패 특별 대책'을 마련해 시행할 계획이다. 올해 1분기부터 '지방 토착 카르텔'을 근절하기 위해 강도 높은 점검을 실시하고 청렴 교육을 대폭 강화할 방침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