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쏠림 현상'에 서울대 등 최상위권 쏠림 현상까지 더해지면서 대구경북의 의대도 미충원이 소폭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5일 종로학원이 전국 39개 의대 2024학년도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을 집계한 결과 총 14개 의대에서 33명이 미충원됐다고 밝혔다. 이는 정원 대비 1.8% 수준이다.
대구경북의 경우 영남대, 계명대, 대구가톨릭대 등 3곳의 의대는 각각 2명씩 이월 인원이 발생했다.
경북대의 경우 의대와 약대는 수시모집 정원을 다 채웠지만 치의대와 수의대에서 각각 1명씩 이월 인원이 발생했다.
한의대는 대구한의대에서 2명의 수시모집 미충원 인원이 발생했다.
전국 상황을 살펴보면 서울대, 연세대, 성균관대, 가톨릭대, 울산대 등 수험생들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대학에서는 1명의 이탈자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지방대는 미충원 인원이 전년(13명)보다 2.5배 늘어난 24명이었다.
특히 소위 '빅5 병원'과 연계돼 있는 의대들은 모두 수시모집 정원을 채웠지만, 서울 안에서도 서울에서도 고려대 8명, 한양대 1명 등 총 9명의 미충원 인원이 발생했다. 의대 쏠림 현상이 심화하는 가운데 그중에서도 인기 의대로 수험생들이 더욱 몰리는 모습이다.
의대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는 규모는 매년 줄다가 올해 소폭 늘어났다. 2019년에는 총 213명이었다가 2020년 162명, 2021년 157명, 2022년 63명, 2023년 13명까지 줄었다가 올해 33명으로 늘어난 것.
이는 예전에는 의대와 최상위권 공대에 중복 합격하면 일부가 공대로 가는 분위기가 있었지만, 지금은 의대로만 쏠리는 현상이 심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미충원 비율을 살펴보면 한의대가 1.7%(8명)로 가장 낮았고, 이어 의대 1.8%, 수의대 1.9%, 약대 2.9%, 치대 6.0% 순이었다.
종로학원은 올해 의대 미충원 비율이 소폭 높아진 점에 대해 학생들이 의대 중복 지원을 많이 했기 때문일 것으로 추정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수험생들이 수시에서 의대만 중복 지원했다가 복수 합격한 대학 중 상위권 대학으로 옮겼기 때문에 미충원 인원이 발생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