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구경북 초등학교 입학 대상 학생 수가 5년 전보다 26.5% 줄었다. 지난해와 비교하면 불과 1년 새 각각 12.1%, 14.6%나 감소해 속도감을 더했다. 전국적으론 올해 초교 입학생 40만 명 선이 깨질 것으로 보인다. 감소세가 가팔라 2년 후엔 30만 명대도 무너질 판이다. 2026년 초교 입학 예정인 2019년 출생아 수가 30만2천676명이다.
'출산율 세계 최저'라는 말도 식상해진 지 오래다. 합계출산율이 0.7명이라는 걸 모르는 사람도 찾아보기 힘들 정도다. 내년엔 0.6명대까지 떨어진다는데도 실감을 못 한다. 경각심도 떨어져 파국이 뻔히 눈에 보이는데도 여전히 '뜨거워지는 솥 안 개구리'다. 오죽했으면 뉴욕타임스가 '한국은 사라지는가'라는 칼럼까지 게재했을까 싶다.
인천시는 올해부터 출산 시 1억원을 준다고 한다. 전부 시 예산은 아니다. 정부 지원금이 70% 정도 된다. 현금으로 한꺼번에 주는 것도 아니다. 18세까지 항목을 나눠 단계별로 지원한다. '1억원 프로젝트' 시도는 좋다. '1억원'이라는 말 자체가 주는 환기성과 상징성, 강력한 흡입력 때문이다. 그러나 '찔끔' 지원이라는 한계는 여전하다.
단계별 '찔끔' 지원으론 '저출산의 악순환' 고리에서 벗어날 수 없다. 너무 느긋하게 절차를 밟고 마취하고 수술 준비하느라 돈과 시간을 다 쓰는 사이 대한민국이 사라지게 생겼다. 이제는 살을 생짜로 째고서라도 급히 수술해야 하는 초비상 상태다. 근본 처방을 연구하고 내놓기엔 늦었다. 숨이 넘어가는 지금, 극약처방이라도 해야 한다.
시급한 근본 처방 중 하나는 영유아를 믿고 맡길 수 있는 거점 보육시설 시스템 마련이다. 이른 출근 및 늦은 퇴근까지 감안해 마음 편하게 맡길 수 있고, 아플 때 등 언제든 바로 가서 볼 수 있는 가까운 거점 보육시설을 정부 주도로 만들어야 한다. 그러나 이 역시 아이를 낳은 뒤의 일이다. 자녀를 낳지도, 낳을 생각도 없으면 소용없다.
출산 결심을 하고 양육 자신감을 가지게 하려면 걱정과 두려움을 줄여줘야 한다. 돈이 전부는 아니지만 출산 결심에 적잖은 영향을 줄 수 있다. '낳을 수 있겠다' '키울 수 있겠다'는 마음을 먹을 수 있게 하는 동기가 된다. 지금의 연령·단계별 지원으로는 한계가 있다. 아이를 안 낳으면 18세도 없다. 현금, 목돈으로 동기를 부여할 때다.
지금은 비상 출산 정책이 필요하다. 정부와 지자체, 기초단체의 저출산 관련 예산을 재조정·단순화시켜 국·시도·구군비를 매칭하면 엄두를 못 낼 일은 아니다. 지난 2022년 정부가 저출산에 투입한 예산은 52조원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단순 환산하면 1억원씩, 50만 명에게 지원할 수 있는 금액이다. 2022년 출생아 24만9천 명의 두 배다.
머뭇거릴 시간이 없다. 국가 존폐가 달린 상황에서 '하세월' 지원으론 답이 없다. 더 촘촘한 대책, 구체적인 정책 등을 운운할 때도 아니다. 당장 피부에 와 닿는 실질적인 지원이 아니면 젊은이, 젊은 부부들의 마음을 움직이기 힘들다. 이리저리 재고 이것저것 시도할 단계는 지났다. 심폐소생술을 해서라도 우선 살려놓는 게 급선무다.
2006년 이후 저출산 대응에 300조원 안팎의 천문학적인 예산을 들이고도 출산율 향상은커녕 유지도 못 했다. 아니 곤두박질쳤다. 묻지도 따지지도 말고 아이를 낳으면 현금 1억원을 지원하자. 수정·보완할 게 있다면 그 후에 하면 된다. 나라가 없어지고 나서 천금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댓글 많은 뉴스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이재명 "TK 2차전지·바이오 육성…신공항·울릉공항 조속 추진"
전광훈 "대선 출마하겠다"…서울 도심 곳곳은 '윤 어게인'
이재명, 민주당 충청 경선서 88.15%로 압승…김동연 2위
한덕수 "24일 오후 9시, 한미 2+2 통상협의…초당적 협의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