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기억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오랜 세월 동안 다양한 방식으로 경험을 기록해 왔습니다. 단순한 책자에서부터 디지털 세상의 빠른 기술 발전에 이르기까지, 과거를 간직하고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 기록에 가치를 두고 있습니다. 우리는 기록을 통해 지난 순간을 돌아보며 삶의 소중함을 깨닫고 현재를 더욱 의미 있게 살아갈 동기를 얻기도 하죠. 올 한해 여러분은 어떤 기록을 쌓아 오셨나요? 당신의 모든 날 모든 순간을 더욱 빛내줄 기록, 그 가치를 담은 두 권의 책을 소개합니다.

◆나를 위한 가장 작은 성실
유년 시절을 돌이켜보면 일기는 빠짐없이 등장하는 숙제 중 하나였습니다. 어린 시절 하루의 경험과 생각이 녹아든 일기는 마치 과거의 나와 현재의 나를 이어주는 소중한 연결고리와도 같아서 단순한 글 그 이상의 의미로 다가옵니다. 우리 대부분은 어른이 되면서 일기 쓰기를 쉽지 않은 일로 느낍니다. 하루하루 바쁘게 돌아가는 삶 속에서 매일의 생각과 감정, 변화를 반추하고 이를 담아내기가 결코 쉽지만은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어른의 일기 쓰기는 시간을 담아내는 마법 같은 행위로, 삶을 더 깊게 체험하고 풍요롭게 하는 힘을 가집니다.
'어른의 일기'(김애리 지음)는 20년 동안 일기를 꾸준히 써 온 저자의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일기 장인인 저자는 일기 쓰기가 어떻게 자신의 인생을 변화시켰는지를 소개하면서 일기 쓰기의 쓸모와 가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저자는 일기로 일상을 기록하는 과정은 자기 생각과 감정, 행동을 바라보고 진정으로 나에게 유익한 것들을 고민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일기를 쓰면서 일상은 더 단단해지고 내면은 더 넓어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일기를 쓰면서 나에 대해 진정으로 알아갈 수 있다는 것이죠.
저자는 나이를 먹을 만큼 먹었지만, 아직 나를 잘 모르겠다고 이야기하는 어른들에게 일기 쓰기를 제안합니다. 거짓 없이 솔직하게 쓴 일기 속에는 매일의 습관과 태도, 나의 성장과 변화가 오롯이 담겨 있기에 삶의 기록 속에 드러나 있는 진짜 나의 모습을 들여다보면서 한 걸음 더 나아갈 힘을 기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책에서는 지난 20년간 축적해 온 다양한 일기 쓰기 방법을 소개하면서 일기 쓰기를 어려워하는 사람들에게 유익한 노하우를 제공합니다. 소소하게만 보였던 매일의 기록이 우리 삶에 가져올 변화가 무척 기대됩니다.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를 위해 오늘부터라도 일기장을 펼쳐보는 것은 어떨까요?

◆기록하고 성장하는 삶
기록은 우리의 삶을 단순한 날짜와 사건의 나열이 아닌, 의미 있는 이야기로 만들어 줍니다. 평소 즐겨 읽는 책 속의 메모, 일기의 페이지, 혹은 디지털 기록의 파일 속에는 우리 삶의 흔적과 의미가 고스란히 담기기 마련입니다. 이러한 기록들은 우리 마음 한편에 숨어 있던 진짜 욕망을 드러내는 동시에 앞으로 성장 가능성을 증폭시키는 촉매제가 되기도 합니다. 기록의 가치는 우리 삶 깊이 스며들어 있는 것이지요.
'거인의 노트'(김익한 지음)는 기록이 우리의 삶을 어떻게 변화시키는지를 전하고 있습니다. 책에서는 한계에 부딪힌 누군가가 벽을 넘어서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기록'이라고 말하면서, 매일의 기록이 차곡차곡 쌓이면 그 기록을 디딤돌 삼아 더 멀리 보고 더 깊이 생각할 수 있게 된다고 강조합니다.
기록이 삶의 성장을 이끄는 수단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자기 삶에 적용하거나 제대로 기록하는 법을 찾는 데 어려움을 느껴 기록하기를 주저합니다. 국내 1호 기록학자인 저자는 일상생활 곳곳에서 성공의 기쁨을 누리고 싶다면 일, 대화, 독서 등 삶의 다양한 영역에서 기록의 원리를 적용해 볼 것을 제안합니다. '거인의 노트'에서는 풍부한 경험과 통찰을 바탕으로 삶을 구성하는 영역에서 능률을 높이기 위해 어떻게 기록해야 하는 지를 구체적으로 소개합니다. 기록을 통해 과거의 흔적을 남기고, 현재를 살아가며, 미래에 대한 다짐과 변화를 만들어감으로써 우리의 삶은 더 풍요로워질 것입니다.
대구시교육청 학부모독서문화지원교사모임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연휴는 짧고 실망은 길다…5월 2일 임시공휴일 제외 결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