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대구공항 항공교통량이 전년 대비 43%가량 늘어나 국내 주요 공항 중 두 번째로 큰 증가율을 기록했다.
국토교통부는 '2023년 항공교통량' 집계 결과 작년 항공교통량이 78만635대로 집계됐다고 19일 밝혔다.
지난해 교통량은 전년 대비 44.6% 증가했으며 코로나19 이전인 지난 2019년과 비교해 회복률 92.7%을 기록했다. 작년 8월 이후 하루 평균 항공교통량은 2019년 수치를 웃돌아 항공 수요가 완전히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여행 수요가 회복되면서 작년 국제선 교통량은 총 54만5천478대로 전년 대비 97.5% 증가했다. 중·단거리 노선을 중심으로 신규취항 및 증편이 활발히 이뤄져 전체 교통량 중 동남아·남중국·일본 노선의 비중이 48%를 차지했다.
반면 지난 2022년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던 국내선 교통량은 전년 대비 약 11% 감소했다. 지난해 국내선 교통량은 코로나19 이전 평년 수준의 국내선 교통량과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항별 항공교통량은 코로나19 종식에 따른 펜트업(pent-up·억눌렸던 소비가 폭발하는 현상) 효과로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2022년과 비교해 인천공항의 하루 평균 교통량은 521대에서 952대로 82.7% 늘어났다. 두 번째로 증가율이 큰 대구공항은 하루 평균 44대에서 63대로 43.2% 증가했다. 김해공항과 청주공항의 일평균 교통량도 각각 31%, 22.2%씩 증가했다.
다만 국내선 전용 공항인 포항경주공항은 하루 평균 12대에서 11대로 전년 대비 8.3% 감소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국제선을 운영하는 대구공항 등 지방국제공항은 해외여행 수요가 회복되면서 교통량이 늘어났지만 국내선으로 운영되는 포항경주공항은 코로나19 당시 국내선으로 몰렸던 수요가 완화되면서 감소세를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용식 국토부 항공정책실장은 "각종 분쟁 등 대외상황이 불확실한 것은 변수지만 올해는 역대 최대 교통량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항공교통량의 변동 추이를 지속적으로 면밀히 모니터링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