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SKY 붙어도 안갑니다"…최근 5년간 최고치

2023학년도 대입 정시 1천343명 SKY 포기
시스템반도체공학, 컴퓨터, 자율전공, 경영대서 외면
최상위 의대 등록 포기자는 줄어…서울대 의대 포기자는 0명

서울대학교 로고. 서울대 제공
서울대학교 로고. 서울대 제공
정기 고연전(짝수 해는 연고전)이 열린 8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아이스하키 경기 응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기 고연전(짝수 해는 연고전)이 열린 8일 오후 서울 양천구 목동아이스링크에서 연세대학교와 고려대학교 학생들이 아이스하키 경기 응원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 2023학년도 대입 정시에서 이른바 'SKY(서울대‧고려대‧연세대)'에 붙고도 등록을 포기한 수험생이 최근 5년간 최고치를 기록했다.

21일 종로학원이 2023학년도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 정시 모집 최초 합격자의 등록 포기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대입 정시에서 1천343명이 SKY에 합격하고도 등록을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9학년도 이래로 최고 많은 수치로 지난 5년 간 SKY 정시 합격 등록 포기자는 각각 2019학년도 1천62명, 2020학년도 1천47명, 2021학년도 900명, 2022학년도 1천301명 등이다.

정시 등록 포기율이 가장 높은 학과로는 시스템 반도체, 컴퓨터학, 자율전공, 경영 등이 꼽혔다.자연계열에서는 서울대 간호대학(48.1%), 연세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130.0%), 고려대 컴퓨터학(91.2%)이 가장 높은 포기율을 보였고 인문계열 경우 서울대 자율전공학부(36.7%), 연세대 경영대학(79.1%), 고려대 경영대학(69.7%)에서 많은 등록 포기자가 발생했다.

반면 최상위 학과인 의대 등록 포기자는 줄어들고 있는 추세다. 2023학년도 서울대와 연세대, 고려대 정시에서 의대 합격 포기자는 12명으로 지난 2019학년도 26명, 2020학년도 15명, 2021학년도 13명, 2022학년도 16명과 비교했을 때 의대 포기자는 계속 감소하는 모습이다.

특히 서울대 의대에서는 최근 5년간 정시 합격 포기자가 아무도 없었다.

종로학원 관계자는 "2022학년도 이후부터 통합수능으로 인한 교차지원, 의대 쏠림현상 심화, 약대학부 전환 등 복합적 요인으로 이전보다 등록포기인원이 늘어나는 추세"라며 "올해도 의대 쏠림 현상이 여전한 상황에서 전년보다 정시 합격 포기자가 많아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