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매일춘추] 시, 목매달고 죽어도 좋을 나무

박상봉 대구시인협회 사무국장

박상봉 대구시인협회 사무국장
박상봉 대구시인협회 사무국장

사람들은 보이지 않는 뿌리보다 눈에 보이는 꽃이나 열매에 더 관심을 갖게 마련이다. 사막 같은 세상의 척박한 환경에서 살아가려면 무엇보다 뿌리가 든든해야 한다. 세상에서 가장 긴 뿌리를 가진 포아풀처럼 말이다.

인생의 사막에서 나를 성장시킨 뿌리는 시(詩)다. 10대부터 '시 나무'에 목 매달고 살았다. 바람 같은 시를 따라잡으려고 그 외 모든 걸 버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사랑하는 여자도 번번이 떠나보내고 직업도 자식도 내 것이 아니었다. 오로지 시만 붙들고 살면 다 이뤄지는 줄로 믿었다.

시를 좇다 보니 언덕이 나왔다. 오르는 길은 무척 힘들었다. 목이 마르는데 샘은 없고 눈앞에 메마른 나무 한 그루 달랑 서 있었다. 시라는 나무다. 그 나무에 글씨를 새겼다. '시, 목매달고 죽어도 좋을 나무'. 나무에 목매달고 쓴 시들로 최근 세 번째 시집을 묶어 펴냈다. 나의 시는 상당 부분 지나온 것, 사라진 것에 뿌리를 두고 있다. 이는 물론 나이 듦의 정조와 깊은 관련을 맺는다. 주로 지난 일에 대한 그리움, 아쉬움, 뉘우침 등의 감정이 베어있다. 어쩌면 나는 사랑으로부터 멀리 도망간 사람일지도 모른다.

나의 사랑은 늘 일정한 간격을 두고 먼 발치에 있다. 기다려도 오지 않는 먼 나무다. 가는 뒷모습을 오래 바라보면서 '먼 나무'처럼 서 있다. 때때로 섬처럼 멀찍이 떨어져 고립돼 있기도 하다. 시인은 불가능한 줄 알면서도 불가능을 향해 끊임없이 걸어가야 하는 불행한 종족이다. 대상에 다가가지 않고 스스로 자기 세포를 키워나가서 서로 상피붙어 함께 불 타버리는 사랑. 제대로 사는, 제대로 죽는 삶과 죽음의 경계에서 활자와 활자 사이, 지워지고 지워지는 사랑의 완성을 향해 내달렸다.

나의 시는 이 땅의 말과 소리와 풍경에 조용히 귀 기울이며 천천히 걸어온 사랑의 말없음표로 길게 이어져 있다. 가을이 되어 가슴 속 빈 의자에 나뭇잎 떨어지고, 겨울이 와서 눈이 쌓이고 마음이 고요하게 가라앉은 뒤에 오랜 시간의 풍화를 겪어온 마음의 빈자리를 메꾸기 위해 만년필에 눈물 몇 방울 찍어 시를 쓴다. 우리네 안과 밖에서 일어나는 온갖 인생사, 그동안 겪은 현실과 삶의 비의를 시에 오롯이 담으려고 한다.

애초에 나의 시는 '사랑을 찾아 길 떠나는 노란 편지지'였으나 두 번째 시집과 세 번째 시집에서는 시가 저절로 나를 찾아왔다. 시집에 수록된 대부분의 시가 그렇다. 나는 아직도 철모르는 소년이고 대책 없는 방랑자다. 지금도 나는 '시, 목매달고 죽어도 좋을 나무'라고 생각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