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자동차 시장에서 친환경차 판매량이 처음으로 55만대를 돌파한 것으로 나타났다. 친환경차 보급이 늘어나는 가운데, 이달 발표될 예정인 전기차 보조금 가이드라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와 국토교통부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국산차와 수입차를 합한 친환경차(하이브리드차·전기차·수소연료전지차) 판매량은 총 55만8천112대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24.3% 증가한 수치로 연간 친환경차 판매량이 50만대를 넘어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국내 친환경차 판매량은 2021년 34만8천850대, 2022년 44만8천934대 등 최근 3년간 매년 10만대 이상 증가하는 추세다.
대구의 경우 지난해 연말 기준 친환경차 등록대수가 10만6천982대로 조사됐다. 지난 2018년(2만7천881대) 이후 매년 30% 내외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친환경차 가운데 전기차가 차지하는 비중은 대구는 28.4%로 전국 평균(25.6%)에 비해 더 높은 편이다.
대구시는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해 올해 총 768억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보급 목표 대수는 6천274대(전기차 5천502대·전기이륜차 700대·수소차 72대)다. 또 전기차 인프라 개선을 목적으로 충전기 4천기를 추가로 설치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달 안에 전기차를 포함한 친환경차 보조금 지침을 내놓을 전망이다. 내연기관차에 비해 가격대가 높게 형성된 전기차의 경우 보조금 지급 규모가 시장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업계는 물론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다.
앞서 환경부는 "보조금을 지급할 때 배터리 재활용 가치, 1회 충전 주행거리 등 고성능 전기차를 중심으로 보조금을 확대한다"는 방향성을 제시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중국이 주력하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 대한 보조금 혜택이 축소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자동차 업계 관계자는 "LFP는 재활용 면에서 불리하고 성능도 떨어져 예상대로 지침이 설정되면 보조금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90% 득표율에 "완전히 이재명당 전락" 국힘 맹비난
권영세 "이재명 압도적 득표율, 독재국가 선거 떠올라"
[우리 아기가 태어났어요]신세계병원 덕담
'이재명 선거법' 전원합의체, 이례적 속도에…민주 "걱정된다"
"하루 32톤 사용"…윤 전 대통령 관저 수돗물 논란, 진실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