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잊지않겠습니다"…순직 소방관 합동 영결식 엄수

문경 화재 순직 김수광·박수훈 소방관 영결식
윤대통령 "안타까움 금할길 없어…국가는 헌신 잊지 않겠다"

고 김수광 소방장과 고 박수훈 소방교의 영결식이 열린 3일 오전 영결식에 앞서 고인들의 직장인 문경소방서에서 운구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고 김수광 소방장과 고 박수훈 소방교의 영결식이 열린 3일 오전 영결식에 앞서 고인들의 직장인 문경소방서에서 운구 행렬이 이어지고 있다. 연합뉴스

화재 현장에서 인명 수색 중 순직한 경북 문경소방서 119 구조구급대 소속 고(故) 김수광(27) 소방장과 박수훈(35) 소방교의 영결식이 3일 경북도청장(葬)으로 엄수됐다.

운구 차량은 이날 오전 10시쯤 경북도청 동락관에 도착했다. 도열한 소방관들은 거수경혜로 두 영웅을 맞았다. 이들의 마지막 길에는 유족, 친지, 경북도지사, 소방청장, 도의원 등 1천여명이 함께했다.

영결식은 개식사, 고인에 대한 묵념과 약력 보고, 1계급 특진·옥조근정훈장 추서, 윤석열 대통령 조전 낭독, 영결사, 조사, 고인께 올리는 글, 헌화와 분향, 조총 발사, 폐식사 순으로 진행됐다.

유가족은 운구행렬 내내 오열했다. 김 소방장의 어머니가 "엄마는 우리 수광이 보고 싶어, 보고 싶어 어쩔래, 보고 싶어 어떡하나"라고 흐느꼈고, 박 소방교의 어머니도 주저앉아 통곡했다. 문경소방서 119 구조구급대 동료들 역시 슬픔을 억누르지 못한채 눈물을 훔쳤다.

두 사람과 한 팀이었던 윤인규 소방사는 "그날 밤도 여느 때와 다름없이 화재 출동 벨 소리에 한 치의 망설임 없이 현장으로 뛰어갔던 우리 반장님들, 늠름한 뒷모습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고 조사를 통해 고인을 기렸다.

윤 소방사는 "반장님들이 그러했듯이 내일부터 우리는 다시 일상으로 돌아가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에게 달려가 최선을 다해 그들의 생명을 지켜낼 것"이라며 "남겨진 가족은 저희에게 맡기시고 떠나간 그곳에서 편안하게 영면하시길 바란다"고 인사했다.

경북 문경소방서에서 3일 오전 고 박수훈 소방교의 유족이 슬퍼하고 있다. 이날 경북도청 영락관에서는 박 소방교와 고 김수광 소방장의 영결식이 열렸다. 연합뉴스
경북 문경소방서에서 3일 오전 고 박수훈 소방교의 유족이 슬퍼하고 있다. 이날 경북도청 영락관에서는 박 소방교와 고 김수광 소방장의 영결식이 열렸다. 연합뉴스

김 소방장의 20년 지기인 전남 광양소방서 소속 김동현 소방관은 '고인께 올리는 글'에서 "함께 소방관이란 꿈을 꾸며 어둡고 좁은 독서실에서 너와 붙어 지낸 시간이 더욱 생각난다"며 "술잔을 기울이며 빨리 가려거든 혼자 가고 멀리 가려거든 함께 가자던 너의 말이 오늘 더욱더 기억나고 내 마음을 울리게 한다"고 울먹였다.

그는 "다음 생에는 희생하며 사는 인생보단 너를 우선으로 생각하고 너의 행복, 가족, 친구들을 생각하며 행복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관섭 비서실장이 대독한 조전에서 "장래가 촉망되는 젊은 두 소방관을 화마 속에서 잃어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며 "공동체와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긴박하고 위험한 화재 현장에 뛰어든 고인들의 희생과 헌신을 국가는 절대 잊지 않겠다"고 밝혔다.

영결식 후 두 소방관은 문경 지역 화장장인 예송원에서 화장을 거친 뒤 국립대전현충원에 안장된다.

이들은 지난달 31일 오후 7시 47분쯤 경북 문경시 신기동 신기산업단지 육가공공장 화재 현장에서 안타까운 목숨을 잃었다. 혹시 남아 있을 마지막 한 사람이라도 찾기 위해 화염을 가르고 뛰어들었다가 갑자기 번진 화마를 끝내 피하지 못했다.

김 소방장은 5년여의 재직기간 동안 500여차례 현장에 출동했다. 박 소방교는 특전사 부사관 출신으로 2년간 400여차례 화재·구급 현장에서 인명 구조에 헌신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