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개표사무원 3천명 더 필요한데…" 선관위, 수당 적어 인력 확보 비상

개표사무 참여 공무원들 "정당한 보상 없는 노동 거부" 의사
선관위, 국가기관·공사·금융기관 직원들에 SOS

31일 오후 대전시 중구 부사동 한밭체육관에서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오는 4월 열리는 총선을 대비해 모의 개표를 하고 있다. 선관위는 이번 총선 부정 선거 의혹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개표 과정에서 사람이 투표지를 확인하는 수검표 절차를 도입한다. 연합뉴스
31일 오후 대전시 중구 부사동 한밭체육관에서 대전시선거관리위원회 관계자들이 오는 4월 열리는 총선을 대비해 모의 개표를 하고 있다. 선관위는 이번 총선 부정 선거 의혹을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 개표 과정에서 사람이 투표지를 확인하는 수검표 절차를 도입한다. 연합뉴스

4·10 총선 개표 시 수검표 추가로 대구시선거관리위원회가 인력을 확보하느라 비상이 걸렸다. 개표사무원은 주로 공무원들이 동원돼 왔으나, 낮은 수당 등으로 이들의 기피가 적지 않은 상황에서 이번에는 추가로 20%의 인력을 더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대구선관위는 선거가 50여일 앞으로 다가왔는데도 인력 확보가 여의치 않자 지역 및 국가기관은 물론 공사·공단에 개표사무원 참여를 독려해 줄 것을 호소하고 있다.

15일 대구선관위에 따르면 4·10 총선부터 개표 과정에 투표지를 개표사무원이 일일이 확인하는 수검표 절차가 시행된다. 이에 따라 개표사무원은 21대 총선에 비해 3천~4천여명이 더 늘어난 2만1천명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개표사무원은 주로 공무원들이 참여해 왔는데, 최근 공무원노조에서 '정당한 보상 없는 노동'이라며 선거사무 참여 거부 의사를 밝혀 선관위는 인력 확보에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공무원노조에 따르면 개표사무원은 통상 선거가 있는 날 오후 4시에 출근해 이튿날 새벽까지 일하는 등 노동 강도가 높지만 이들이 받는 수당은 최저시급에도 미치지 못한다. 개표사무원의 일당은 15만원으로 16시간 기준으로 하면 시간당 9천375원이다. 올해 최저시급은 9천860원이다.

개표사무원들은 일에 비해 대가가 적다고 불만이 많았고, 이로 인해 참여율은 떨어져 왔다.

이런 상황에 이번 총선에서는 인력을 추가해야 해 선관위로서는 머리가 아프다. 선관위는 대구시와 각 구·군청 등에 인력 지원 협조 요청을 한데 이어 공사, 공단, 금융기관 등에도 인력 지원 'SOS'를 보내고 있다.

대구선관위 관계자는 "선거 관리에 공정성과 전문성을 갖춘 공무원 확보가 더 중요해졌으나, 낮은 수당 등으로 인력 확보는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고 했고 공무원노조 등에선 "정부와 국회가 투·개표 업무에 투입되는 공무원들에게 인센티브를 제공해 참여율을 높이는 방안 등을 모색해야 한다"고 요구한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