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포스코 격주 4일제 시행 한 달, 가야 할 길이라면 선제 대비해야

시행 한 달째를 맞은 포스코의 주 4일 선택근로제에 긍정적 평가가 우세하다고 한다. 초과근무를 저축해 금요일에 쉬는 방식이다. 쉬게 되는 금요일 근무를 2주 동안 매일 1시간씩 더 일하는 것으로 갈음하는 셈이다. 방식은 조금씩 달라도 삼성, SK, LG 등 주요 대기업도 시범 도입했다고 한다. 포스코도 사무직을 대상으로 시행 중이다. 유연한 조직 문화 조성을 위해 사측이 먼저 제안한 것이었다.

주 4일제를 비롯해 금요일 오전 근무만 하는 주 4.5일제 실시 기업까지 합해도 아직은 손에 꼽을 정도다. 그러나 공론화 논의는 대세가 된 지 오래다. 정치권이 공약으로 내놓은 것도 수차례다. MZ 세대 등 미래 노동의 주축이 될 젊은 층의 자세는 적극적이다. 급여가 낮아지더라도 주 4일제 근무 도입을 찬성한다는 쪽에 손을 든다. 특히나 고령화 시대에 로봇과 AI가 가져올 기술적 진보를 감안해야 한다. 노동시간 단축을 통한 일자리 나누기가 먼 훗날의 숙제가 아니라고 보는 이유다. 쟁점은 주 4일제 도입 여부가 아니라 언제 전면 도입할 거냐로 보인다.

우려의 시선은 있다. 노동 양극화, 수익 양극화라는 부작용이다. 노동시간이 곧 생산성으로 이어지는 산업 분야도 있기에 일괄 적용을 주장하기도 어렵다. 근무시간을 줄이면서 임금을 유지할 수 있는 게 최적의 방안이지만 모든 기업에 적용할 수 없다. 맞벌이 부부를 위한 대책 등 주 4일제에 선제적으로 뒷받침돼야 할 것들도 있다. 2012년 '놀토'를 없앴을 때 어떻게 대비했는지 반추할 필요가 있다. 제도적·사회적 인프라 구비는 빠를수록 좋다.

이참에 재택근무 등으로 보완된 근로유연제 시행을 고심할 가치가 있다. 지난해 정부가 사회적 논제로 올린 바 있던 터다. 주 4일제, 안식월 등 다양한 급부가 가능해진다. 노동을 기계화한다는 비판은 상존한다. 근로자 개인에게 선택 권한을 늘려주는 방식 등으로 부작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집중적으로 일을 해놓고 휴식 기간을 늘려 잡겠다는 이들에게 주 4일제는 매력적인 당근일 수 있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